
주요동향
주요동향
13차 5개년 국가 과학기술 혁신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공업신식화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6-07-06
- 등록일 2016-08-22
- 권호 76
□ 최근 중국 국무원은 리커창 총리의 허가를 거쳐 13차 5개년 국가 과학기술 혁신계획*을 발표(’16.8.8)
* 국가 과학기술 최상위 계획으로, 향후 5년간 국가 과기혁신 발전전략과 목표 제시
○ 중국은 2020년까지 종합 혁신 경쟁력을 세계 15위로 끌어올려 혁신형 국가 대열에 진입하고, 과학기술 경제성장 기여도를
60%로 높이는 등 발전 목표 수립
- 자주혁신 능력 제고, 과학기술혁신의 경제내 역할 제고, 혁신형 인재 양성, 혁신기반 제도 및 정책 구축, 혁신창업 최적화
< ‘13·5’ 과학기술혁신 주요지표 >
지 표 | 2015년 지표치 | 2020년 목표 | |
1 | 국가 종합혁신능력의 세계 순위 | 18 | 15 |
2 | 과학기술진보 기여도 (%) | 55.3 | 60 |
3 | GDP 대비 R&D투자 비중 (%) | 2.1 | 2.5 |
4 | 취업자 1만명당 연구자 (명/연간) | 48.5 | 60 |
5 | 첨단기술기업의 영업수익 (조 위안) | 22.2 | 34 |
6 | 지식집약형 서비스업 부가가치의 GDP 비중 (%) | 15.6 | 20 |
7 | 규모이상 공업기업의 R&D투자와 매출액 비중 (%) | 0.9 | 1.1 |
8 | 국제과학기술논문 피인용 횟수의 세계 순위 | 4 | 2 |
9 | PCT 특허출원량 (만건) | 3.05 | 2배 증가 |
10 | 인구 1만명당 발명특허 보유량 (건) | 6.3 | 12 |
11 | 중국 기술계약액 (억 위안) | 9835 | 20000 |
12 | 국민의 과학자질 비중 (%) | 6.2 | 10 |
□ 과학기술 혁신의 6대 중점 방안으로 ①국가 전략분야 구축, ②원천 혁신능력 제고 ③혁신 발전기지 구축
④ 대중창업 만중혁신 추진 ⑤전면적 과학기술 체제개혁 심화 ⑥과학 문화 확산 등을 제시
[국가 전략분야 구축]
○ 2030년을 향한 ‘과학기술 혁신 2030-중대과학기술 프로젝트 구축
- 현대농업, 차세대 IT기술, 생태환경 보호, 국민건강, 심우주, 심해 등 국가 안보 분야
[원천 혁신 능력 제고]
○ 기초연구 강화, 기초연구 투자 확대, 국제거대과학계획 및 거대과학 공정 실시
○ 국가 실험실을 확대하는 과학기술 혁신기지 구축
○ 혁신형 인력풀 육성 가속화, 세계적 수준 과학기술 선도자 양성
[혁신 발전기지 구축]
○ 지역혁신거점 구축, 베이징· 상해시 국제적 과학기술혁신 센터 구축
○ 일대일로 혁신공동체 구축
[대중창업·만중혁신 추진]
○ 과학기술 서비스 수준 개선 및 개방형 기술거래시장체계 구축
○ 서비스 창업 인큐베이팅 및 과학기술 혁신창업 금융체제 구축
[전면적 과학기술 체제개혁 심화]
○ 과학기술 관리체제 개혁 및 거버넌스 구축
○ 기업 주도 역할 강화, 국가 기술혁신공정 강화
○ 효율적 R&D조직체계 구축
○ 과학기술 성과 이전 메커니즘 개선
○ 민군 심층융합 혁신 메커니즘 정비
[과학문화 확산]
○ 국민 과학기술 역량 향상 및 과학혁신 문화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