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6 기후변화 지표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9-02
  • 등록일 2016-09-05
  • 권호 77

□ 환경보호청(EPA)는 37개 지표를 통해 미국의 기후변화 추세 및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16.8.)

 

* Climate Change Indicators in the United States 2016  

 

○ 총 지표는 온실가스, 날씨·기후, 대양, 강설·빙하, 건강·사회, 생태계 등 6개 부문으로 구성되어, 기존 30개 지표에 신규로 7개

    지표 추가

 
  (1) 온실가스


 지표

현황 

 미국 온실가스 배출량

 '90'14년 미국내 온실가스 배출량은 7% 증가하였으나 ‘05년 이후 미국 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이

 7% 감소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90'10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5% 증가하였으며, 같은 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42% 증가

 온실가스의 대기밀도

 대기 내 이산화탄소 농도는 연평균 400ppm을 초과해 80만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

 기후 강제력

 '90'15년 인간 활동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통한 온난화 효과가 37% 증가함


  (2) 날씨 및 기후 

 

지표

현황

 평균 온도

 1901년 이후 평균 지표온도의 상승으로 가장 더운 상위 10연도가 모두 ‘98년 이후로 기록

 최대 및 최소 온도

 여름 중 이상고온현상이 나타나는 경향이 잦아짐에 따라, 야간 시 이상저온현상의 빈도가 뚜렷하게 감소

 강우량

 연간 강우량은 매년 증가해 10년 당 0.08인치(2mm) 강우량이 증가하는 추세

 폭우

 폭우의 빈도가 잦아지고 있으며 1일 간 강우량이 가장 높았던 상위 10개 연도 중 9개가 1990년 이후임

 열대성 사이클론

 열대성 사이클론의 발생은 해수면의 온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최근 20년 간 발생 빈도가 증가함

 하천 범람

 하천 범람은 지역별로 증감에 차이가 있으나 북동부와 중서부에서 대규모의 홍수가 발생

 가뭄

 ’001520-70%의 미국 국토가 이상기후로 인한 가뭄이 최소 1번 이상 발생

 

  (3) 대양 

 

 지표

현황 

 대양열

 ’50년 이래로 대양에 저장된 열량이 크게 증가

 해수면 온도

 1800년대 말 관측이 시작된 이후 최근 30년 간의 해수면 온도가 최고

 해수위

 1880년 이후 10년마다 0.6인치(1.5cm) 씩 해수면이 상승하, 중부 대서양 연안과 걸프해 연안에서 뚜렷히 관측

 해안 범람

 1950년대부터 장기적 관측을 실시한 거의 모든 도시에서 해안 범람

현상이 증가

 해양 산성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로 해양 산성도가 증가하여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미침

 

  (4) 강설 및 빙하 

 

 지표

현황 

 북극 지역 해빙

 북극해의 해빙은 ‘129월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였으며 두께가 감소해 녹는데 더욱 취약

 남극 지역 해빙

 남극해 해빙은 ‘149월 역대 최고치의 두께를 기록하였으나, 북극해 감소량 대비 적은 증가량

 빙하

 미국의 빙하량은 ‘60년대 이후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해수면의 상승에 원인이 됨

 호소빙

 110년 전에 비해 호소빙이 녹는 날짜는 최대 24일 축소

 강설

 적설량은 1930년 이후 미국 내 대부분의 지역에서 감소하였는데 겨울철 강우량의 증가와 관련이 있음

 적설

 육지 중 눈에 덮인 지역은 1년 당 3,300제곱피트(306제곱미터) 속도로 감소하고 있음

 스노우팩

 1995년에서 2016년 사이 눈의 깊이는 평균 23% 감소

 

  (5) 건강 및 사회 

 

 지표

현황 

 고온 관련 사망자

 ‘79년 이후 고온 관련 사망자 수는 9,000명이 넘으며 대부분 65이상의 노령자임

 고온 관련 질환자

 ‘0110년 사이 28,000명이 고온으로 병원에 입원 하였으며 65이상의 남성이 대다수

 난방 및 냉방일수

 난방일수의 감소와 냉방일수의 증가 현상이 뚜렷

 라임병

 진드기로 발생하는 라임병의 발현빈도는 기‘91년 이후 두 배 증가

 웨스트나일바이러스

 모기로 전염되는 웨스트나일바이러스의 발현 빈도는 ‘02년 이후 매년 큰 편차로, 불안정한 추세

 작물 생장 기간

 따뜻한 봄과 가을 서리 발생일의 지연으로 작물의 생장 기간은 거의 모든 주에서 증가

 돼지풀 꽃가루 발생기간

 측정이 진행 중인 11개 지역 중 10개 지역에서 돼지풀 꽃가루 발생 기간이 증가함

 

  (6) 생태계


 지표 

현황 

 산불

 ‘83년 이후 산불 피해 면적 상위 10개 중 9개가 2000년 이후 발생

 하천 유출

 겨울과 봄 사이 하천유량의 최대치 시점이 5일 정도 앞당겨짐

 하천 온도

 ’6014년 사이 하천 온도 측정지 중 79%에서 온도 상승 현상 발생

 오대호 수위

 최근 수십 년 동안 오대호 수위는 다소 감소하였으나 역사적 변화 범위 내임

 철새 이동 거리

 겨울 철새의 이동거리가 평균 40마일(64킬로미터) 이상 증가

 해양 생물 분포

 해수 온난화로 인해 바닷가재, 검정우럭 등 해수종이 심해나 북쪽으로 이

 첫 낙엽 및 개화일

 라일락과 인동에 대한 관찰 결과는 매년 첫 낙엽 지는 날과 개화일이 크게 변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