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주체별 이노베이션 정책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9-02
  • 등록일 2016-09-05
  • 권호 77

□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에서 일본 이노베이션 현황, 과제 및 방향성을 제시한 「이노베이션 정책」중간 보고서

   발표(‘16.8.) 

 

○ 일본 이노베이션의 현황 및 과제로 기업의 단기주의 등 현안 과제 도출 

 

 - 고객가치 변화에 따른 대응속도, 폐쇄적 연구개발투자*, 기업의 단기주의, 인재 및 자금의 유동성 부족 등

 

  * 기업자사 연구개발 비율 61.4%, 사업화 되지 않는 아이디어 63%  

 

○ 기업의 경영 자원 한계를 타파하는 전략 수단으로 오픈이노베이션을 정착 시키는 것이 중요  

 

 - 전 세계적으로 AI 등 핵심기술 관련 치열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나, 일본은 연구자 수가 주요국의 13% 수준이라 이노베이션

   거점 마련이 시급  

 

<이노베이션 전체상>
  

 

□ 오픈 이노베이션 추진관련 조직, 인재, 환경 정비 측면에서 아이디어 창출, 기술개발, 시장 획득을 위한 주체별 정책

   제시 

① 조직의 방향성 제고 

 

※ 기업, 대학 등 주체에 관련된 정책

 

주체 

내용 

 기업

 ○ 이노베이션 추진을 위한 의식 개혁 및 조직체제 운영

  - 이노베이션 100위원회: 벤처기업과 대기업 연계 목적으로 대기업 경영자를 회원으로 설립

  - 오픈이노베이션 협의회

 ○ 중장기적 연구개발 투자 촉진

 대학

 조직으로서의 산학협력 기능 제고

 

② 인재·기술의 유동성 촉진

 

※ 산학협력, 기업·벤처 등 협력관계 관련 정책

 

 구분

내용 

 아이디어 창출

 [산학협력]

 아이디어 창출을 위한 조직 대 조직의 산학공동연구 확대

 기술개발

 [산학협력] 대학 참여 확대를 위한 대학 교직원 및 학생에 대한 투자

  - 산학관 대화의 장인 이노베이션 촉진 산학 관민대화회의설치

 [기업×벤처] 대기업과 벤처기업 연계 촉진

  - 연구개발형 벤처지원사업 관련 대기업이 참여한 연구개발 지원 필요

 [국책연구소×기업, 대학,벤처] 국립연구개발법인 교량기능 강화

  - 산업기술종합연구소의 이노베이션 코디네이터 체제 및 사내벤처 추진

 [대학, 기업×벤처] 대학 및 기업 벤처 성장 지원

  - 오픈이노베이션 아레나(OIA)강화, 산업기술종합연구소·나고야대학 질화물 반도체

 - 선진 디바이스 오픈이노베이션 LAB 설치

 시장획득

 [기업×기업·벤처]

 ○ 국책연구소 등을 활용한 사업화툴 구축 및 사회도입기능 강화

   - NEDO 사회도입추진실 설치 필요


③ 환경 정비

  

 구분

내용 

 아이디어

창출

 [국가] 산학관 협력에서 기술인텔리전스 확립

  - NEDO 기술전략연구센터를 중심으로 시장과제 동향 파악

 기술개발

 [국가] 국가 프로젝트 개혁

  - 협력분야 설정, 해외기업 및 인재의 참여 촉구

 시장획득

 [국가] 규제완화 등 인센티브 조치등을 통한 경제사회시스템 구축

  -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센터, Connected Lab(가칭)

 

□ 이노베이션 촉진 체제로 이노베이션촉진 산학관 대화회의, 인공지능기술전략회의, 글로벌 오픈이노베이션센터(예정)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