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16년 정보통신백서 발표…경제성장의 동력 'ICT'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9-02
- 등록일 2016-09-05
- 권호 77
□ 총무성, ICT산업 현황과 향후 전망을 정리한 ‘정보통신백서’ 발간(7.29)
○ 이번 백서는 ‘IoT‧빅데이터‧인공지능, 네트워크와 데이터가 창조하는 새로운 가치’를 주제로 ICT가 가져올 혁신과 가능성 및
경제성장 등을 구체적으로 전망
< 2016년 정보통신백서, ICT를 활용해 경제성장을 도모하는 구상 >
주) TFP (Total Factor Productivity) : 생산 요소 (노동, 자본) 이외의 부가가치 증가에 기여하는 부분. 구체적으로는 기술진보,
노동자 능력 향상, 경영 효율성과 조직의 운영 효율성 개선 등
※ 자료 : 총무성, ‘16.7.29
○ (GDP 약 33조 엔 상승) ’20년 일본 GDP는 내각부가 제시한 557조 엔 보다 약 33조 엔 증가한 590조 엔으로 늘어날 전망
-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는 생산력 저하, 노동력 부족 등 사회적 문제를 야기
- 하지만 IoT‧빅데이터‧인공지능 등 첨단기술 보급과 활용이 촉진될 경우 생산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키며 경제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 (IoT 시대 새로운 제품‧서비스 확산) 다양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서비스 로봇뿐 아니라 핀테크‧공유경제 등 신개념 서비스
창출에 따른 인재양성과 보안 중요성 강조
- 세계적으로 IoT 관련 시장이 자동차‧의료‧항공우주‧통신 등 산업 전반에 파급되며 성장세를 지속함에 따라 일본 기업은 인프라
조성뿐 아니라 인재육성에 매진할 필요
※ 세계 IoT 디바이스 시장은 ’20년 300억 대 이상에 달할 전망
- 더불어 데이터 활용‧유통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블록체인‧분산관리 기술에 주목
< 2016년 정보통신백서_ICT가 GDP 상승에 미치는 효과 >
※ 자료 : 총무성, ‘16.7.29
○ (인공지능 활용) 의료서비스 고도화, 교통혼잡 해결 등 다양한 사회적 과제 해결이 가능한 분야에서 도입 가속화
- 인공지능 기술 발전은 노동력 감소를 상쇄하고 새로운 직업을 창출하는 등 고용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생산효율성 제고,
경제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 첨단 ICT활용과 촉진은 국가 경쟁력 강화와 경제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핵심 과제
○ 급변하는 ICT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해 면밀한 현황 파악에 나서며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정립하는 일본의 행보 주목
○ 우리나라도 ICT가 경제성장의 주역으로 거듭나기 위해 K-ICT 전략 등 로드맵을 전개하고 있는 바, 선제적 투자와 후속 대책
마련을 통해 지속 성장을 이어갈 수 있는 노력 경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