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사이버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 확대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9-23
- 등록일 2016-09-26
- 권호 78
□ 국립과학재단은 연구자들이 데이터와 컴퓨터 자원의 효과적 공유를 위한 사이버 인프라* 구축에 1억 1,000만 달러를
투자하는 방안 발표(‘16.8.)
* 첨단기기, 컴퓨팅시스템, 데이터, 소프트웨어, 연구자 네트워크 등을 포함
○ 오바마 정부는 ‘15년 7월 국가전략 컴퓨팅 이니셔티프(NSCI)*를 발표하고, 이 전략의 일환으로 사이버 인프라 투자방안 추진
* NSCI(National Strategic Computing Initiative)는 고성능 컴퓨팅 시스템 개발 및이를 R&D에 활용해 정밀의료, 빅데이터 분석
등 타분야 기술혁신 촉진 목적
○ 기존의 ‘엑시드 프로젝트’(XSEDE)‘*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하는데 사용
* Extreme Science and Engineering Discovery Environment
- ‘11년에 설립되어 미 전역의 6천여 연구진과 학생들에게 슈퍼컴퓨터로 처리된 컴퓨팅·데이터 서비스 제공, 14,000건 정도의
논문 작성에 기여
- 일리노이드대학을 중심으로 시카고대학·UC버클리·버지니아 대학 등 18개 대학 및 연구기관이 협력
※ NSF는 그간 XSEDE에 1억2천100만달러 지원
< XSEDE 관련 주요 연구 성과 >
주요 성과 | XSEDE 성과 내용 |
중력파 발견 | 레이저 간섭계 중력파 관측소(LIGO)에서 관측된 수치를 분석하고 결과치를 검토하는데 XSEDE를 사용 |
고해상도 북극 지도 제작 | 북극해 지역의 고해상도 지도 제작을 수행하는 "ArcticDEM" 프로젝트를 지원 |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 (HIV) 구조 규명 | XSEDE의 컴퓨팅 자원을 활용해 원자수준으로 바이러스 구조를 모델링하고, 예방 및 치료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 |
도시교통 최적화 방안 연구 | 슈퍼컴퓨터를 활용한 자동차 충돌 시뮬레이션을 통해 자동차 사고에서 운전자들이 부상을 입는 과정을 분석하고 피해 저감 방안을 연구 |
□ XSEDE 프로그램 연장·확대로, 다양한 분야 연구 촉진 등 국가 혁신 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향후 5년 동안 사용자 커뮤니티 확대 및 혁신 활동에 초점
- 다양한 과제 해결을 위한 슈퍼컴퓨터, 데이터 분석 자원 서비스 제공
- 기존 XSEDE 유저서비스를 바탕으로 교육, 훈련, 홍보활동 등을 통해 지역 및 국가 수준의 자원에 연계
○ 다양한 부문의 첨단 연구 촉진
- 물적 컴퓨팅 자원에 대한 투자 뿐 아니라 소프트웨어와 인적서비스 등 연구 생태계 구축을 위한 컨텐츠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