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대기화학 분야 미래 연구 우선순위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09-23
- 등록일 2016-09-26
- 권호 78
□ 국립학술원은 대기화학 분야의 연구과제 우선순위 보고서*를 발표(‘16.8.)
※ 대기화학은 대기 화학적 구성 변화, 가스·입자 출처, 대기 내 기본적 화학변화 수량화 등 인간과 자연활동으로 인한 변화에
대응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분야
* The Future of Atmospheric Chemistry Research: Remembering Yesterday, Understanding Today, Anticipating Tomorrow
○ 대기화학 연구는 국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환경 정책과 연관되어, 대기오염, 산성비, 오존층 파괴 등 부문에 기여
- 최근, 세계적으로 에너지 수요 증가, 산업활동 확대, 농업활동 집중화로 인해 대기화학에 대한 연구수요 증가
< 국가환경기준(NAAQS) 대비 대기 내 오염원 비중 변화 경향 >
- ‘60년대 산성비의 원인인 아황산가스와 질소산화물을 파악하고, 관련 가스 배출을 막는 법제 개발에 기여해 생태계를 보존
- 냉매에 포함된 염화불화탄소(CFCs) 사용이 오존층 파괴의 원인임을 규명하여, ‘87년 몬트리올 조약의 발효를 통해 국제적
동참을 유도
□ 향후 10년 간 대기화학분야의 5대 연구주제 제시
○ (과제1) 가스·입자 분포, 화학반응, 생애주기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통한 예측 역량 개선
- 대기화학적 변화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 예측 및 정책 피드백을 통한 오염원 배출 관리
< 대기화학 연구를 통한 예측 역량 >
○ (과제2) 배출 및 침적 과정의 수량화
- 바이오 입자 배출을 제한하며, 오존과 같은 반응군 제거 침적 과정 연구
○ (과제3) 대기화학 기후 및 기상모델 내 통합 개선
- 온실가스와 대기입자 지구의 열수지, 기상패턴, 강우 등에 영향
○ (과제4) 국민보건에 치명적인 가스·먼지에 대한 대기화학 연구
- 대기 내 화학 물질 배출원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파악
○ (과제5) 대기와 생태계간 생명지구화학적 순환 관계 이해
- 대기, 대양, 토양에 포함된 화학물질들과 생물 구성 요소 간 대기화학적 과정 연구
□ 이와 관련 대기화학연구 도구 개발, 빅 데이터 수집·분석·성과도출, 산·학·연 협력 촉진, 국립연구소 역할 확대 등
정책 제언
○ 연구소 설립부터 대기화학 연구 측정 플랫폼, 모델링 개발까지 적절한 자원 제공
○ 데이터 저장 시스템 구축 및 모델 개발 활동 권장
○ NSF 주도의 범학제적 연구 제공 기회 확대
○ NSF와 연계해 대기화학 연구 커뮤니티 확대 전략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