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도전적 연구 지원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6-09-23
- 등록일 2016-09-26
- 권호 78
□ 문부과학성 과학기술 학술심의회는 도전적 연구에 대한 과학연구비 지원 강화에 관한 중간보고서 발표(‘16.8.)
※ ‘15.2월 과학연구비개혁의 실시방침에 입각하여 ‘16.2월 도전적 연구 지원 강화에 대한 Working Group 설치
○ 일본 학술연구에 있어 도전성 추구가 가장 중요한 과제라는 인식 공유
- 미국 국립과학재단의 변혁적 연구지원사업과 같이 과학 분야에서 새로운 패러다임 창조를 이끌 잠재성을 가진 연구 강화
○ 기존 과학연구비는 「기반연구」을 중심으로 모든 학술영역에 도전성을 요구하나, 항목별 역할 및 관계성이 불분명하므로
명확한 수정 필요
- 기업에서 대학으로의 투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오픈이노베이션형 연구개발비
[ 과학연구비 구성]
ㅇ「기반연구」항목:「기반연구(S·A·B·C)」
- 지금까지 축적된 학문분야의 심화 및 발전을 목표로 하는 연구를 지원하여 학술 연구의 기반을 다지는 항목
ㅇ「도전적 연구」관련 항목(가칭):「신학술영역연구」「도전적 연구」
- 참신한 발상에 입각한 연구를 지원하여 학술의 패러다임 변혁 및 전환, 새로운 영역의 개척을 선도하는 잠재성을 지닌 항목
ㅇ「신진 연구」항목:「신진 연구」,「연구활동 시작 지원」
- 젊은 연구자에게 독립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연구자로서의 성장을 지원하고, 기반연구 항목으로 원활히
이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마련한 항목
< 도전적 연구를 위한 과학연구비 개혁 >
○ 기존의 도전적 맹아연구를 보다 장기적이고 대규모 지원이 가능한, 「도전적 연구」(‘17~) 항목 신설
※ ‘15년 현재「도전적 맹아연구」에 따른 지원은 3,952건(약 108억 엔)
< 도전적 연구 사업>
명칭 | 도전적 연구(개척) | 도전적 연구(맹아) |
대상 |
○ 참신한 발상과 새로운 방법 창출 등 학술 체계 및 방향에 큰 변혁·전환을 지향하고, 한 명 혹은 여러 명의 연구자가 제시한 연구계획 | ○ 도전적 연구(개척)와 동일 ※ 탐색적 성격이 강하거나, 초기 단계 연구 포함 |
지원 금액 | 500만 엔 ~ 2000만 엔 | ~ 500만 엔 |
연구기간 | 3~6년 | 2~3년 |
○「신진 연구」 항목 수정
- 신진연구 A의 경우, 39세 이하 연구자가 기반연구에 채택되는 비율이 높아, 기반연구 항목으로 통합 예정(‘18~)
- 아직 실적이 충분하지 않은 젊은 연구자 지원(신진연구 B)이 목적이므로, 실적과 경험을 쌓은 후에는 기반연구 항목으로 이행
※ ‘15년 기준으로「신진연구 A」사업은 1,315건으로 약 36억 엔, 「신진연구 B」지원은 5,771건 약 161억 엔 지원
□ 그 외, 특별추진연구 개선, 도전적 연구 채택률 확보 등이 필요
○ 새로운 학문을 개척할 독창성 연구를 중점 지원하는 「특별추진연구」제고 및 과학연구비 이외의 제도와의 연계를 검토
○ 도전적 연구의 도전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채택건수를 제한하고, 연구비 규모를 최대 확보
-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는 신규사업 채택률 30%를 목표로 하고 있으나, 최근 응모건수 증가 등을 고려한 대응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