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양자암호 통신 위성 발사 성공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09-23
  • 등록일 2016-09-26
  • 권호 78

□ 중국은 최근 양자암호 통신 실험위성을 발사하여 세계 최초로 위성과 지상간 양자통신을 수행할 전망(‘16.8.)

 

○ 양자정보 과학은 양자역학과 정보과학간 융합 분야로, 양자측정·양자통신· 양자계산 등 연구 분야가 포함 

 

 - 양자암호 통신은 양자역학을 이용해 생성된 암호키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도·감청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차세대 기술임

 

  ※ 양자암호통신 기능은 통신 양방향(Alice와 Bob)간 실시간 동적 배분키로, 통신의 절대적인 안전 확보 

 

○ 양자암호 통신은 30년간 연구단계를 거쳐 실용화 단계에 있음 

 

 - 오스트리아 은행, 스위스 대선 투표결과 전송 등 양자암호 통신을 통해 넓은 영역에서 활용 

 

□ 선진국들은 양자암호 통신망 구축 및 검증을 집중적으로 추진 중임  

 

○ ‘07년 미국 DARPA는 10개 노드의 양자통신망 구축 

 

○ ‘10년도 일본은 도쿄 양자통신망을 구축하여 화상회의와 이동통신에 응용할 수 있는 양자통신 휴대폰과 암호키 메모리 카드

    시연  

 

○ ‘13년 중국은 경호간선(베이징-상하이 양자암호 통신공정)을 가동하고, ‘16년 말까지 지난시 양자통신 시험망, 허페이시 도시권

    양자통신 시범망을 연결한 대규모 광역 양자암호통신망을 가동할 예정


< 양자위성, ‘경호간선’과 신쟝 우루무치 간 장거리 양자통신 실현 >

 

○ 양자통신망 구축 및 양자통신 기술 등 양자통신 산업화에 따라, 기업의 양자통신설비 R&D 및 생산과 판매 활발

 

 - 예를 들면 미국의 BBN, 영국의 QinetiQ, 스위스의 IDQuantique, 일본의 Toshiba, NEC,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NTT

   중국의 궈둔(国盾)양자, 안후이 원톈(问天)양자 등 기업 

 

□ 중국은 최초 양자 위성 발사로 글로벌 양자통신 시대 개척  

 

○ 중국과학원은 양자과학 실험위성 발사(8.16)이후, 우주정거장 ‘텐궁*’(天宮) 2호 발사 성공(9.15)

 

  * 텐궁2호에 양자 통신 실험장비를 탑재, 중국 양자암호 통신위성과 함께 지상 기지국과 양자암토 통신 실험 실시 

 

 - 최초로 위성을 이용하여 아시아와 EU 대륙 간 양자 안전전송 채널을 구축하고,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하여, 세계적으로 획기적

   성과 창출  

 

 - 향후 양자통신 실험위성 발사에 이어 여러 개 위성을 추가로 발사하여 2030년 글로벌화 광역 양자암호 통신망을 구축할 예정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