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6년 연구개발형 대학벤처 조사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소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6-10-07
  • 등록일 2016-10-10
  • 권호 79

□ 일본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은 연구개발형 대학벤처를 추출하고, 기업의 실태조사 분석(‘16.9.) 

 

○ 대학벤처* 정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업의 실태조사 및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구축

 

  * 본 보고서에서는 벤처 설립 후 특허출원을 하고 있는 대학기업으로 정의  

 

(1) 연구개발형 대학 벤처 추출 

 

○ 일정기간이 지난 대학벤처의 경우 자사에서 연구개발 및 특허 출원 경험 비율이 높으므로, 설립 후 특허 출원을 한 기업으로

    추정한 결과 947개 기업 추출

 

 - 기존 대학벤처기업* 중 홈페이지 존속이 확인된 ‘00.1월 이후 설립 기업 531개 추출

 

  * 기존 대학벤처 목록은 문부과학성(1776개), 경제산업성(1749개) 등 대학벤처를 집계하여 중복을 배제한 결과 2,865개 기업

 

 -  대학 등과 공동으로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00.1월 이후 설립된 기업으로 현재 존속하고 있는 기업으로 416개 추출 

 

(2) 연구개발형 대학벤처 성장요인 분석  

 

○ (대학벤처의 모대학별 설립수) 연구개발형 대학벤처가 창출되는 환경은 기존 대학벤처의 환경과는 다른 차이를 보임 

 

 - 특허권화를 필수로 하는 신규기술을 개발하는 대학벤처 설립 지원 정책이 필요하며, 연구개발형 대학벤처와 기타 대학

   벤처는 별도로 하여 분석 필요


< 대학벤처(연구개발형+기타)의 모대학별 설립 수 >

(연구개발형 대학벤처 설립수 상위 50개 대학) 


 

 

○ (대학소속연구자) 특허출원에 따라 발명자 정보를 추출하고 대학 등에 소속되어 과학연구비조성사업을 취득한 적이 있는

    연구자 목록(2,153명) 작성  

 

○ (연구개발형 대학벤처 특허출원) 상위 20개 기업이 전체의 19.8%, 상위 100개 기업이 전체의 50.2%를 차지  

 

 - 단독 출원이 45.5%를 차지하며, 기업 간 협력이 34%, 대학 및 연구소 간 협력이 20.2%를 차지  

 

 - 분야별 특허출원수는 의약·바이오·의료분야(25%), 전기공학분야(24%), 화학·섬유분야(22%), 광학·계측제어(17%) 순으로

   나타남
 

 

< 연구개발형 대학벤처 특허출원형태 > 

 

< 연구개발형 대학벤처 특허출원 분야 >

 

 

○ (성장시장별 분류) 의료계, ICT업계에 속한 연구개발형 대학벤처가 산업계에 많이 활용  

 

○ (발명 피인용수) 출원수, 피인용수가 많은 연구개발형 대학벤처 창출에 관여하는 연구원 참여가 높음 

 

(3) 지속적 대학벤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현재까지 구축된 연구개발형 대학벤처의 특허정보, 발명자 정보를 갱신하고 기업의 성장을 시계열적으로 관측할 필요성 제기  

 

○ 특허출원 발명자에 대학 등 소속연구자가 71.8% 포함되어 있으므로, 발명자 정보를 지표로 한 대학벤처 추출 결과 87.8%의

    예측결과가 가능  

 

○ 이들 대학의 70% 정도가 모 대학과의 연관성 구축에 성공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