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기업 연구개발투자성향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지식재산
- 원문발표일 2016-10-07
- 등록일 2016-10-10
- 권호 79
□ 미래공학연구소는 ‘15년 경제산업성 산업경제연구위탁사업으로 「기업 연구개발투자성향에 관한 조사」전망
보고서를 발간(‘16.8.)
○ 일본 연구개발투자는 GDP 차지 비율은 높으나, 사업 수익율이 낮아 산업경쟁력 강화 및 경제성장 기여율이 저조한 편임
- 동 조사에서는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 조사를 통해 기업의 수익률 분석
※ 설문조사대상 기업은 총 1,532개이며, 이중 198개 기업이 응답하였고, 청취조사는 전문가1명, 벤처기업 및 창업지원 관계자 2명, 대기업 4명으로 실시
□ 기업 연구개발투자와 경제효과 인과관계, 연구개발투자와 수익성 관계, 연구개발투자 변화요인 분석, 오픈
이노베이션 등에 관한 실태 분석
【연구개발투자 및 경제효과】
○ 연구개발 투자비 증가 원인으로 경쟁격화, 제품사이클의 단기화, 시장 성숙화 및 신시장 개척 필요성 증가로 분석
○ 일본의 연구개발투자는 세계 3위임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기업수익은 주요 선진국 대비 매우 낮은 수준임
- 수익 저하의 원인으로 저가격 경쟁에 돌입한 제품 비율 증가로 조사(60%)
< 연구개발 효율성과 연구개발비(‘09) >
< 주요선진국의 연구개발효율 추이 >
【연구개발투자 특성 및 추이】
○ (연구개발총액) 리먼쇼크(‘08)이후, 기업의 연구비는 크게 저하하였으나, 그 이후로 미세하게 증가
○ 단기 연구개발투자는 약간 증가한 반면, 중장기 연구개발투자는 약간 감소
< 일본 연구주체별 연구비 추이 >
【연구개발투자 변화요인】
○ 기초연구는 경제여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완만히 상승하는 반면, 응용연구는 경제여건이 양호할 때는 투자비율이
높아지고, 경제여건이 저조할 때는 투자비율이 낮아짐
○ 연구개발 단기화 원인으로 정부의 단기성과 요구, 제품사이클 단기화, 중장기 주제입안의 어려움 등을 지적
【외부협력, 오픈이노베이션】
○ 10년 전과 비교하여 오픈이노베이션 추진이 활성화 된 기업은 전체의 약 45%였으며, 직원 수가 많은 기업일수록 활성화
비율이 높음
○ 외부협력 여부를 실질적으로 결정하는 사람은 최고 책임자 외에도 부장, 연구소장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어 권한이 이양되고
있음
- 협력여부는 기술우위성, 연구개발속도, 비용, 사업화 역할분담, 지식재산권으로 결정
○ 오픈이노베이션의 장애요인은 오픈이노베이션 목적 이해 부족, 사내 기술개발과 외부 도입 기술 전략 부재, 외부기술
정보수집 및 자사 수요 미흡 등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