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VR시장, 생태계 확장과 주도권 확보 위한 움직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중국
  • 생성기관 Digi-Capital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10-07
  • 등록일 2016-10-10
  • 권호 79

□ 다양한 분야와 결합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VR기반 신시장 창출 가속 

 

○ 가상현실(VR)은 ICT업계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으며 ‘16년 CES·MWC·IFA 등 주요 전시회의 핵심 트렌드로 자리매김 

 

  ※ 구글·페이스북·MS와 같은 글로벌 업계와 삼성전자‧LG전자 등 국내 기업, 중국 업체도 시장 선점을 위해 적극 투자 

 

○ VR은 국방·제조업뿐 아니라 최근 게임·관광·스포츠·방송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을 가속화하며 융·복합 산업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동력으로 부상 

 

< 시장조사기관별 VR 시장 전망 > 

Trendforce

(‘15.12)

Digi-Capital

(‘16.1)

Goldman Sachs

(‘16.1)

Deloitte

(‘16.1)

IDC

(‘16.4)

Statista

(‘16.4)

- VR (HW) ‘20

   3,800만 대

- VR HW+SW 시장

  ‘20700억 달러

- VR HW Games /

   Apps /  Video /

   theme Park

  ‘20300억 달러

- VR/AR HW ‘25

   450억 달러

- VR/AR SW ‘25

   350억 달러

- VR 시장  ‘16

   10억 달러 (HW

   부문: 7억 달러

   차지)

- VR HMD 출하량

   ‘206,480만 대

- VR HMD 시장

   규모 ‘20150

   달러

- VR HW ‘20

   52억 달러

- VR SW ‘20

   245억 달러

※ 자료 : 각 기관별 / IITP정리 

 

□ 글로벌 VR컨소시엄 활동 구체화 및 투자 촉진 등 생태계 활성화 기대 

 

○ 대만 스마트폰 제조사 HTC는 120억 달러(약 13조 4,000억 원) 규모의 VR투자펀드를 조성하고 세계 각국 벤처캐피털(VC)

    37곳과 협력해 가상현실벤처캐피털협회(VRVCA*)를 설립 

 

  * Virtual Reality Venture Capital Alliance :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한 ‘MWC 2016 차이나’에서 공식 출범(6.29) 

 

 - VRVCA는 투자와 정보교류 등 활동을 본격화하기 위해 중국 베이징에서 첫 회의를 개최하고 샌프란시스코에서 2차 후속 논의

   진행 예정(‘16.11.) 

 

 - 설립 초기단계이기에 정보교환과 협력을 모색하는 수준으로 예상되지만 향후 대규모 M&A를 추진하는 등 큰 영향력을 발휘할

   것 

 

○ 세계적으로 VR디바이스–콘텐츠–플랫폼 등 견고한 생태계 구축과 투자 활성화를 위해 대규모 펀드 조성, 전략 프로젝트 수립

    등 움직임 활발 

 

 - 구글·MS·페이스북 등은 VR기반 차별화된 가치창출과 수익모델 개발을 위해 경쟁하고 있으며 국내 업계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VR HMD, 360도 카메라 출시 등 글로벌 시장에 적극 대응 

 

 - 종합 반도체 1위 기업인 인텔 역시 VR오픈 플랫폼 구현을 위한 ‘알로이 프로젝트(Alloy project)’를 공개(8.16)했으며 독자 VR

   헤드셋 개발 위해 모비디우스 인수(9.15) 발표 

 

  ※ 모비디우스는 이미지처리 시스템온칩(SoC) 전문업체로 구글의 증강현실 ‘탱고 프로젝트’에 참여. 동작인식을 위한 센서 칩

      기술 등을 보유해 인텔의 VR시장 진출을 드라이브할 것으로 예측 

 

□ 한국도 VR전문펀드 조성을 위한 논의 지속하며 글로벌 시장에 대응 

 

○ 미래부는 제 24차 ‘ICT정책 해우소’를 개최(8.19)하며 ‘16/‘17년에 걸쳐 총 400억 원 이상 규모의 VR전문펀드를 조성하는 방안을

    강구 

 

 - 게임, 테마파크, 교육 등 VR분야별 원천기술과 비즈니스 모델 등을 보유한 기업에 제품개발, 마케팅 관련 자금을 지원하며

   투자를 활성화할 방침 

 

 - 나아가 세제혜택, VR클러스터 등 다양한 정책을 기반으로 ‘20년까지 국내에 VR전문기업 50개 육성을 목표로 노력을 경주할

   계획  

 

○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를 선정(8.10)하고 VR·AR을 성장동력 확보 분야에

    포함 

 

 - (성장동력 확보) 인공지능, VR·AR, 자율주행자동차, 경량소재, 스마트시티 등 

 

 - (삶의 질 제고) 정밀의료, 탄소자원화, (초)미세먼지, 바이오 신약 등 

 

○ 한편 아직까지 최적의 VR구현을 위한 다수의 선결과제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적극 모색하며 시장우위를

    확보 

 

 - 디스플레이 해상도, 어지러움 및 발열 문제, 무게·디자인, 콘텐츠 부족 등을 해결하기 위한 안정적인 차세대 인프라 구축, 영상

   기술 고도화, 첨단소재 개발 등에 매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