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IFA 2016, 스마트기기 간 연결성과 통합의 시대 예고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중국
  • 생성기관 SK증권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6-10-07
  • 등록일 2016-10-10
  • 권호 79

○ IFA(Internationale Funkausstellung) : 1924년부터 독일 베를린에서 매 년 개최되는 유럽 최대 국제 가전 박람회로 미국

    라스베가스의 CES, 스페인 바르셀로나의 MWC와 함께 세계 3대 IT 박람회임 

 

  * 2016년 세계 50개국, 1,818개 업체 참가(역대 최대 규모), 중국이 국가별 점유율 40%(730개)로 가장 많이 참여하였으며,

    독일 395개, 프랑스 67개, 대만 63개, 미국 61개 기업 참여(한국은 삼성·LG 등 96개) 

□ (스마트 홈) 기기 간 연결이 다양해지면서 미래 가전의 발전 방향을 제시 

 

○ ‘15년은 가전제품에 와이파이를 더해 연결성을 강조하는 수준이었으나 올해는 △음성 인식으로 다른 가전을 제어하는 허브 개념

    로봇 △직접 가사 업무를 수행하는 로봇 등장 △가전과 통신·보안 등 다양한 이종 업체 간 결합이 증가하면서 홈 IoT가 본격

    개화 

 

 - IHS마킷은 스마트 홈 시장은 매년 60%씩 성장하면서 오는 ‘20년에는 4억 7,700만 개에 달하는 관련 기기가 실제 각 가정에서

   집사 역할을 할 것이라고 전망(9.4) 

 

□ (스마트기기) 스마트폰 OLED 패널 채용이 확대되고 VR 활용도가 상승 

 

○ 스마트폰에서는 OLED가 채용이 증가했으며 Sony와 Lenovo는 카메라 기술을 기반으로 신제품을 공개했으나 고사양 듀얼

    카메라 등을 채용한 혁신적인 제품은 부족했다는 평가 

 

< 화웨이·소니·레노버의 전략 스마트폰 > 

 

 

 

5인치 디스플레이

전면카메라, 800만 화소

배터리 용량 3,340mA

32GB 메모리, 3GB 램 탑재

399유로

5.2형 풀 HD 디스플레이

고성능 카메라 탑재

메탈바디 채택

10월 출시 예정, 가격은 미정

5.5인치 HD AMOLED 디스플레이

퀼컴 스냅드래곤625 옥타코어

3GB

1,600만 화소 후면 카메라

9월 출시 예정

(가) 화웨이, 노바

(나) 소니, 엑스페리아 XZ

(다) 레노바, 모토Z 플레이 

※ 자료 : 각 사 

 

○ 기존 제품을 발전시킨 스마트워치뿐 아니라 액티비티 트래커와 아날로그 시계에 스마트워치의 기능을 더한 ‘하이브리드 워치’도

    전시  

 

○ IFA 2016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제품 시연 진행에 활용돼 VR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했음을 증명 

 

□ (TV) TV 시장 경쟁이 OLED·퀀텀닷 등 프리미엄 제품으로 확대  

 

○ (OLED) LG전자가 주도하며 중국·유럽업체가 합류하면서 세력을 확장. LG전자를 비롯해 9개 업체가 이번 전시에 OLED TV를

    공개  

 

○ (퀀텀닷) 삼성전자는 TV를 비롯한 퀀텀닷 모니터 3종을 출시해 퀀텀닷 라인업을 강화했으며 TCL·하이센스·하이얼 등 중국

    업체도 퀀텀닷 TV를 발표  

 

□ 한국: B2B를 활용한 영역 확대, 중국: 굴기의 현실화, 유럽: 프리미엄으로 경쟁력 강화 

 

○ (한국) 삼성전자와 LG전자는 IFA 2016에서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 부품 및 제품을 기반으로 유럽 빌트인 시장을 집중

    공략하겠다고 언급  

 

○ (중국) 화웨이·하이얼·TCL·창홍·하이센스 등 국가 중 가장 많은 업체(730개)가 참가했으며 냉장고·청소기·오븐·가스레인지 등

    저렴한 가격과 대규모 물량 공세  

 

○ (유럽) 가전시장의 전통 강자인 밀레·지멘스·보쉬·베스텔 등은 높은 완성도로 마무리된 냉장고와 세탁기 등 명성에 맞는

    차별화된 프리미엄 제품을 공개 

 

□ ICT·가전의 융합 확산과 후발 업체의 추격에 대응해 시장 선도를 위한 노력 경주 

 

○ 이제는 IT 산업이 기본적인 연결과 통합 수준에서 벗어나 인간 욕구에 대한 근원적인 충족을 극대화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 

 

 - 차별화된 품질·서비스 등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역량과 위상을 강화하고 수익성·성장성을 고루 갖춘 新기술 개발에 대한

    R&D 투자를 선제적으로 확대 

 

 - OLED·VR 등 차세대 디바이스의 성능 개선과 첨단 기술과의 접목을 위해 최적의 소재를 개발하고 설계와 개발 단계부터 특성을

    반영해 제품 가치와 경쟁력 제고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