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이노베이션 2016」 중점 추진정책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10-21
- 등록일 2016-10-24
- 권호 80
□ 제 22회 일본 종합과학기술·이노베이션회의에서는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종합전략 2016」에 기술된 ‘중점추진사항’과
관련된 각 부처별 정책 선정(‘16.9.)
○ 중점 추진사항으로 미래의 산업창조와 사회변혁을 향한 새로운 가치 창출, 경제사회적 과제 대응, 기반강화, 인재
‧지식‧자금 선순환시스템 구축,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추진 강화 등을 도출
○ ‘17년도 예산 요구액은 9,538억 엔 규모로, 중점 추진사항별 필요한 정부부처 중점추진 정책을 구분
< 중점 추진 정책 >
중점 추진 정책 |
정책 수 |
'17년도 예산요구액(억 엔) |
1. 미래 산업창조 및 사회변혁 |
40 |
868 |
(1) 미래에 과감히 도전하는 연구개발 및 인재 강화 |
2 |
50 |
(2)「society 5.0」(초스마트사회)를 실현하는 플랫폼 |
17 |
462 |
(3)「society 5.0」(초스마트사회)의 기반기술 강화 |
28 |
686 |
2. 경제·사회적 과제 대응 |
177 |
4,107 |
(1) 지속적인 성장과 지역사회의 자율적 발전 |
138 |
3,646 |
(2) 국가·국민 안전확보 및 풍요롭고 질 높은 생활 실현 |
39 |
558 |
(3) 전 지구적 과제 대응 및 세게 발전에 대한 공헌 |
7 |
135 |
3. 기반강화 |
25 |
5,071 |
(1) 인재력 강화 |
16 |
3,526 |
(2) 지식 기반 강화 |
9 |
4,638 |
(3) 자금개혁 강화 |
5 |
18 |
4. 인재, 지식, 자금의 선순환 시스템 구축 |
23 |
274 |
(1) 오픈이노베이션을 추진하는 시스템 강화 |
7 |
30 |
(2) 신규사업에 도전하는 중소 벤처기업의 창출 강화 |
6 |
101 |
(3) 지식재산·표준화 전략 및 제도 수정 및 정비 |
6 |
31 |
(4) '지역활성화'에 기여하는 이노베이션 구축 |
4 |
111 |
(5) 글로벌한 수요를 선점하여 이노베이션 창출기회 개척 |
3 |
34 |
5.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추진기능 강화 |
4 |
9 |
합계 | 232 | 9,538 |
(1) 미래 산업창조와 사회변혁
○ 미래에 과감히 도전하는 연구개발 및 인재 강화
- 미래사회창조사업 혁신미래기술 창출(문),혁신연구개발추진프로그램(ImPACT)(내)
○ 새로운 경제사회 ‘Society 5.0’을 실현하는 플랫폼
- 인공지능·빅데이터·IoT·사이버보안 통합 프로젝트(문), 데이터플랫폼 거점형성사업(문), IoT 추진을 위한 횡단기술 프로젝트(경)
○ ‘Society 5.0’ 기반기술 강화
- 나노기술·재료에 관한 최첨단 연구기기 공용플랫폼 구축(문), 수송기기 경량화에 기여하는 새로운 구조재료 등 기술개발(경)
※ 정부부처 중 과학기술 관련 부처인 내각부, 문부과학성, 경제산업성의 중점추진 정책으로 요약(이하 동일)
(2) 경제·사회적 과제 대응
[지속적인 성장과 지역사회 발전]
○ 에너지·자원·식품 안정
- 에너지운반체 제조 차세대 기반기술개발(문), 도쿄전력 후쿠시마 제 1원자력발전소 폐지조치 등 연구개발 가속플랜(문),
ITER(문) 등
- 식물생산력 향상 연구거점형성(문), 게놈 정보를 활용한 농산물 차세대 생산기반기술 개발(농)
- 농업에 활용되는 빅데이터, AI, IoT 연구(농)
○ 초고령화·인구감소 사회 등에 대응하는 지속가능한 사회 실현
- 교량연구 전략적 추진(문), 재생의료 실험거점 네트워크(문)
- 자율형 모빌리티시스템 개발(총), 고도 자동주행시스템 실용화(경)
○ 제조업 관련 경쟁력 강화
- 뇌 정보에 의한 무의식 가치판단을 활용한 평가방법 연구(총), 차세대 레이저기술개발(경)
- 정보통합형 물질·재료개발 추진(문)
[국민 안정 확보 및 풍요롭고 질 높은 생활 실현]
○ 효율적 인프라 유지, 자연재해에 강한 사회 실현, 국가 안보상 제반과제에 대한 대응
[전지구적 과제 대응 및 세계 발전 공헌]
○ 지구환경정보플랫폼 구축
(3) 기반 강화
○ 인재 육성 강화
- 세계 최고 수준 연구거점 프로그램(문), 과학연구비조성사업(문), 수리·데이터과학교육 강화(문)
○ 지식기반 강화
- 국립대학법인 시설정비(문), 공동연구체제 강화(문), 국립연구개발법인 중심의 이노베이션 허브 구축(문)
(4) 인재·지식·자금 선순환 시스템 구축
○ 오픈이노베이션 시스템 강화
- 산학공동창조플랫폼 공동연구(문), 오픈이노베이션협의회(경), NEDO 교량기능강화(경)
○ 신규 사업에 도전하는 중소벤처기업 창출 강화
- 차세대 창업가 육성 프로그램(문), 대학신산업 창출 프로그램(문), 연구개발 스타트업 지원 사업(경)
○ 이노베이션 창출을 향한 지식재산·표준화 전략 및 제도 정비
- 지식재산교육 추진 컨소시업 및 지역 컨소시업 구축(내), 지식재산활용지원(문)
○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는 이노베이션 시스템 구축
- 지역이노베이션에코시스템 형성(문), 지역 중심 기업 창출 지원(경)
○ 글로벌 수요를 선점하여 이노베이션 창출 기회 개척
- 전략적 정보통신연구개발추진(총), 외무대신 과학기술고문 관계 경비(외), 감염증연구혁신이니셔티브(문)
(5)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추진 강화
- 제 5기 과학기술기본계획 및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종합전략 추진 필요 정책입안조사(내), 과학기술이노베이션 정책을 위한
과학 추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