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IoT 국제규격 및 표준화 시장 선점 활동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10-21
  • 등록일 2016-10-24
  • 권호 80

□ 일본 정부는 미국·독일 등 선진국과 연대해 IoT 국제표준화를 선도할 계획 

 

○ 사물인터넷(IoT) 사회 구현을 위해 정부·산업계 등이 참여한 일본의 공동연구체 ‘IoT 추진 컨소시엄’은 미국의 ‘산업인터넷

    컨소시엄’, ‘오픈포그 컨소시엄’과 MOU를 체결(10.3)

 

  ※ 10.4∼7일 개최하는 ‘첨단기술전시회(CEATEC JAPAN) 2016’ 전날(10.3) 협력을 맺고 전시회에서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IoT

      기술, 규격 등을 어필 

 

○ 日 IoT추진컨소시엄 

 

 - ▲기업 간 연계 강화를 위한 환경정비 ▲IoT 프로젝트 자금지원 ▲규제개혁 ▲분야별 전략 수립 등을 수행하며 IoT 구현을

   위한 다양한 사업 전개(‘15.10월 출범) 

 

○ 美 산업인터넷 컨소시엄(Industrial Internet Consortium) 

 

 - AT&T, GE, IBM, 시스코, 인텔, 도시바 등 메이저 기업이 가담해 IoT기술 표준화 작업을 수행(‘14.3월 출범) 

 

○ 美 오픈포그 컨소시엄(OpenFog Consortium) 

 

 - IoT 잠재력을 구체화할 수 있는 표준 아키텍처 등을 연구·공유하며 IoT시장 확대와 서비스 발전 도모  

 

 - ARM, AT&T, MS, 델, 시스코 등 기업뿐 아니라 알토대, 아리조나주립대 등 학계도 참여(‘15.11월 발족) 

 - 일본 정부는 당 MOU를 통해 통신·센서 사이버 공격을 방어하는 보안기술을 포함한 IoT 국제표준화 확립에 자국 기술을 적극

   반영할 계획  

 

 - IoT 규격이나 표준화 제정 단계부터 협력이 이루어지면 자국 기업은 이를 기준으로 관련 기기개발과 투자에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나아가 제조업 역량을 바탕으로 스마트공장 구축 등 IoT 시장에 빠르게 대응한 독일과도 파트너십을 맺고 글로벌 시장 주도권의

    유리한 입지를 확보한다는 전략 

 

○ 한편, 미국·독일 정부도 IoT 국제표준화에 일본이 참여함으로써 글로벌 공조를 강화하고 긍정적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입장 

 

□ 이미 일본 업계에서는 IoT 국제표준화 추진을 위한 실험을 전개하며 준비 박차 

 

○ 지난 7월 히타치제작소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을 포함한 14개사가 다양한 기기 간 통신·제어 방법, 규격과 같은 IoT 국제표준화

    확립을 목표로 실험에 돌입 

 

 - 제조설비에 장착하는 센서에서 데이터를 수집해 생산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스마트공장’ 구축, 생산속도와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인공지능’ 도입 등을 중점적으로 테스트 

 

 - 또한 일선 제조공장끼리 제휴해 다양한 제품을 수주하거나 생산할 수 있도록 각종 데이터를 공유하는 시스템 구축을 위한 규격

   ·장비의 국제표준화 정립을 추진한다는 구상 

 

○ 일본 정부는 미국·유럽에 비해 IoT 국제표준화 경쟁에서 뒤처진 편으로 판단, 경제산업성·총무성 중심으로 표준화뿐 아니라 기술

    개발·실증실험을 적극 독려

 

  ※ (미국) 사이버시큐리티, (독일) 인더스트리 4.0 / 디지털전략 2025, (EU) 디지털 단일시장전략, (프랑스) 디지털공화국법안 등

      세계 주요국은 IoT 등을 포괄하는 디지털 전략 마련에 앞장 

 

○ 기술표준화뿐 아니라 데이터 활용, 인재육성, ICT투자 촉진 등 포괄적인 로드맵 수립에 나서며 ‘25년 의료·농림수산업·통신·방송

    ·유통 등 모든 영역에서 IoT 구현 사회를 실현할 계획(총무성, ‘16.7.7) 

 

□ 첨단산업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기술‧표준화 등을 선도할 수 있는 전략 마련 필수 

 

○ 新성장동력 확보와 혁신창출을 선도하기 위해 사물인터넷(IoT) 시장 선점에 나선 글로벌 선도국을 주시하며 일본 정부‧산업계도

    적극 대응하는 모습 

 

 - 미국‧독일에 비해 IoT 육성전략 마련이 뒤처졌다고 판단한 일본은 민관 협력을 통해 기술개발과 인프라 조성, 글로벌 선도국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경쟁우위 확보 등 적극적인 행보를 전개 

 

○ 한국도 IoT 기본계획(‘14.5), K-ICT 10대 전략산업(‘16.5) 등을 수립하며 초연결 디지털 혁명의 선도국가 실현을 비전으로 제시한

    만큼, 관계부처‧지자체‧민간 협력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정책 업데이트와 지원 강화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