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정보기술협정(ITA) 확대협상물품 관세율 감축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연합뉴스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6-10-21
  • 등록일 2016-10-24
  • 권호 80

□ 중국, 단계적으로 현재 ITA* 확대협상 물품에 적용되는 관세율을 낮출 계획

 

  * Information Technology Agreement : 컴퓨터, 소프트웨어, 반도체 등 첨단산업 교역 자유화를 위해 관련 품목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기로 한 WTO의 다자간 협정 

 

○ 중국 정부는 주요 IT 제품인 201개 품목군(중국 세관번호 484개 품목)에 대해 관세율 1차 감축·시행(9.15) 

 

 - 현재 관세율 0%가 아닌 ITA 확대협상 물품은 3년(27%), 5년(24%), 7년(12%) 등 단계적 감축 후 무관세화 계획 

 

 - 특히 TV 카메라(중국 관세율 35%)·위성 TV 수신 셋탑 박스(중국 관세율 30%) 등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양허제외품목도

   포함돼 우리나라 IT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이 확대될 전망 

 

○ 금번 ITA의 무세화 품목 확대로 우리나라 주요 수출품목인 반도체·TV·평판디스플레이·무선통신기기 등 IT 제품의 경쟁력 강화와

    수출 확대 기대 

 

< 중국 ITA 확대협상 주요 품목 > 

품목

품목 수

대상 품목(HS 2007 기준)

 반도체

 6

MCO(attachment B), 전자직접회로 프로세서·컨트롤러(854231), 메모리 반도체(854232), 증폭기(854233)

 영상기기

 14

TV카메라·디지털카메라·비디오카메라레코더(852580), 셋톱박스(852871),

디스플레이용 CCFL(853939ex), 아동용 휴대용 교육기기(attachment B), TV·

카메라·라디오·모니터 부품(852990ex) 

 광학기기

 13

필터(900220), 기타렌즈(900290), 광학현미경 및 부속품(901180, 901190), 기타

현미경(901210)

 IT제품 소재

 8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접착제(350691ex), 반도체 제조용 필름(370130, 370199),

잉크카트리지(attachment B) 

 IT제품 제조 장비

 24

냉각용 팬(841459ex), 열 교환기(841950ex), 반도체·디스플레이용 필터(842139ex), 반도체 제조장비 및 부품(848630, 848640, 848690) 진공펌프(attachment B)

 계측기기

 38

거리측정기(901510), 금속재료 시험기기(902410), 재료시험기기(902480), 전력량계(902830), 전자계측기기(903010 ), 자동제어기(903220)

 기계

 16

·실린더 등 인쇄용 기기(844250), 복합형 인쇄기(8443310), 인쇄기 부품(844391), 등사기(847210), 화폐교환기(847689ex)

 음향기기

 19

마이크·스탠드(851810), 확성기(851821, 851822), 헤드폰·이어폰(851830), 휴대용 라디오(852712), 카 스테레오(852721ex)

 전기기기

 19

정지형 컨버터(850440), 기타스위치(853650), 스위치·퓨즈 등 전기기기(853690ex), 신호발생기(854320)

 의료기기

 17

심전계(901811), 초음파영상진단기(901812), 자외선·적외선 응용기기(901820),

안과용 기타기기(901850), X선사용기기 부품(902290ex)

 통신기기

 6

통신기기 부품(851770), 전송장치(852550)

 기타

 21

저장장치(852321, 852352 ), GPS(852691), 항공기시뮬레이터(880521), 영사용 스크린(901060)

※ 자료 : 관세청  

 

□ 최대 흑자국인 중국 수출 회복을 위해 관세인하 혜택을 활용해 제품 진출 확대  

 

○ ITA 협정대상 물품의 규격에 해당되는 물품만 관세인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하여 중국 시장에 진출하되

    각 업체별로 세부 규격을 정확히 확인할 필요 

 

○ 한편 우리나라 ICT 수지는 65.9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며, 전체산업 흑자(53.0억 달러)를 견인한 가운데 對 중국

    수출(홍콩포함)은 75.5억 달러 기록(‘16.8월 기준) 

 

 - 디스플레이(18.9억 달러, △8.6%), 휴대폰(7.0억 달러, △19.9%) 등은 감소했으나, 반도체(36.5억 달러, 2.3%↑) 등 수출이

   증가하며 감소폭 개선

 

  ※ 중국 ICT 수출 증감률(%) : (‘15.12) △10.4 → (‘16.1) △17.3 → (3) △9.2 → (5) △12.4 → (7) △9.5 → (8) △3.7 

 

< 중국(홍콩 포함) 수출 추이 >

                                                                                         (단위 : 억 달러, % : 전년 동월대비) 




















































































 구분

 '15.8

 9

 10

 11

 12

 '16.1

 2

 3

 4

 5

 6

 7

 8

금액 

 78.3

 87.8

 88.7

 83.5

 75.2

 64.1

 55.4

 70.1

 63.0

 67.8

 71.4

 67.4

 75.5

(증감률)

(4.8)

(6.3)

(5.3)

(0.9)

 (10.4)

(17.3)

(15.6)

(9.2)

(18.9)

(12.4)

(6.7)

(9.5)

(3.7)

 

 중국

 60.6

 (1.6)

 68.4

 (3.2)

 70.0

 (△3.6)

 62.9

 (△3.6)

 52.8

 (△21.9)

 48.6

 (△23.9)

 41.3

 (△21.7)

 53.0

 (△12.1)

 46.0

 (24.2)

 48.0

 (△20.1)

 49.8

 (△14.9)

 48.6

 (△15.5)

 53.9

 (△11.0)

 

 홍콩

 17.7

 (17.1)

 19.3

 (19.2)

 18.7

(19.1)

 20.6

 (17.8)

 22.4

 (36.9)

 15.5

 (13.1)

 14.1

 (9.3)

 17.2

 (1.0)

 16.9

 (△0.1)

 19.8

 (14.3)

 21.5

 (20.0)

 18.8

 (11.2)

 21.5

 (21.5)

※ 자료 : 미래부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