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바이오기반 제품산업 경제적 효과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11-04
- 등록일 2016-11-07
- 권호 81
□ 미국 농무부는 바이오기반제품 산업이 미국 경제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16.10.)
* An Economic Impact Analysis of the U.S. Biobased Products Industry
○ 농무부는 바이오기반 제품*의 구입 증진을 위해 바이오프리퍼드 프로그램 (Bio-preferred Program)을 시행해 왔으며,
관련 인증제품은 연방정부가 일정량 의무적으로 구매해야 하고 인증라벨을 달아 소비자도 인지하도록 함
* 기존의 석유기반 제품에 비해 화석연료의 소비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고, 농촌의 경제발전과 고용창출을 촉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바이오기반 제품산업을 생물학적 소재, 재생자원, 농작물 및 임산물을 제조하거나 활용한 제품 산업으로 정의
- 이에 따라 농림업, 바이오정제, 바이오화학, 효소, 바이오플라스틱, 임산업, 직물 등 7개 분야로 선정
※ 에너지, 농작물, 식품, 축산품, 제조업과 관련된 산업은 본 산업 분류에서 제외
□ 바이오기반 제품은 미국 경제활동 및 고용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
○ ‘13년 기준 바이오산업부문관련 고용자수 400만 명, 부가가치 기여도 3,690억 달러, 바이오제품 일자리 하나당 1.64개의 타
분야 일자리 창출
< 2013년 현재 바이오기반제품 산업의 경제 기여도 현황 >
- 직접 고용 근로자 152만 명, 간접 고용된 근로자 111만 명, 관련 소비상품과 서비스 근로자 139만 명으로 총 402만개의 일자리
창출
- 총 부가가치액은 1,258억 달러이며, 간접 매출액은 1,260억 달러, 양 산업에 의한 파급 매출액은 1,175억 달러로 총 3,693억
달러의 매출액 기록
< 바이오기반제품산업의 총 고용자 수 및 부가가치액 >
○ 바이오기반 제품산업이 환경에 미치는 효과는 매년 3억 갤런 석유 사용 대체를 통해 1,000만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
* 자동차 20만대가 1년에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에 해당하는 양에 해당
- 원유 정제시설에서 생산되는 화학원료를 직접 대체하는 것과, 석유기반 합성소재를 바이오기반 소재로 대체하는 것을 통해 석유
사용 감소 효과 발생
○ 지역별 특화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주정부간 입지계수(LQ*)를 측정할 경우 지역 간 차이가 뚜렷하게 발생
* Location Quotient
- 미시시피, 오리건, 메인, 위스컨신, 아이다호, 앨라바마, 노스캐롤라이나, 알칸소, 사우스다코다 등이 타 지역보다 높게 나타남
□ 농무부는 향후 정책 과제로 다음과 같은 개선사항을 제시
○ 현행 산업 분류체계가 바이오기반 제품을 명확히 구분하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
○ 바이오기반 제품 생산에 대한 세금 공제 등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농무부 바이오정제시설 보조 프로그램 등을 통한 예산 지원
확대
○ 벤처캐피탈을 통한 장기적 파트너십 및 예산 조달이 용이하지 않아 관련한 적극적인 지원금 및 대출제도 요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