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시민 참여형 혁신 촉진 전략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문화
- 원문발표일 2016-11-04
- 등록일 2016-11-07
- 권호 81
□ 회계감사원(GAO)*은 연방기관이 시행하고 있는 참여형 혁신 촉진 전략 특성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16.10.)
* 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 Open Innovation : Practices to Engage Citizens and Effectively Implement Federal Initiative
○ 연방기관들은 다양한 분야의 과제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민간기업, 비영리단체, 학계, 시민 등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방식을 활용
- 에너지부 Sunshot Catalyst, Wave Energy Prize, 보건복지부 Neuro Startup Challenge Open FDA, 주택도시부 Rebuild by
Design 등 부처별 다양한 혁신프로그램 추진
- 정부성과결과법 현대화법(GPRAMA*)은 연방기관들의 주요 전략과 자원을 요구하며 회계감사원이 이를 평가하도록 명시
* The Government Performance and Results Act Modernization Act
○ 회계감사원은 연방기관에서 시행되는 시민참여형 혁신전략 사례들을 분석하고 그 중 주로 사용되고 있는 5대 전략을 정리
< 연방기관 참여형 혁신 전략 >
구분 |
내용 |
크라우드 소싱 시민참여 |
ㅇ 크라우드 소싱을 통해 개인의 자발적인 지원을 인터넷 상에서 공개 요청 |
아이디어 창출 |
ㅇ 참가자에게 특정 문제에 대처하는 아이디어를 제시 |
공개데이터 협력 |
ㅇ 국민들이 데이터를 얻고 활용하는 연구 수행 활용하도록 지원 |
공개적 대화 |
ㅇ 일반 전문가, 이해당사자들에게 각종 정보와 의견에 대한 피드백 제공 |
현상금 공모 및 경연대회 |
ㅇ 참가자가 잠재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도록 요청하고, 이를 평가하여 선정된 해결책에 대한 보상 제공 |
□ 연방정부의 다양한 사례 인터뷰, 선행연구 분석 등을 통해 시민참여형 혁신 프로그램 효과적 수행을 위한 7대
전략을 제시
○ 시민참여 목적과 기관의 역량에 적절한 전략을 활용
- 예로, 현상금 공모 및 경영대회 관련 26개 프로그램은 새로운 아이디어 및 해결책 개발을 주된 목표로 선정
< 시민참여형 혁신 프로그램 유형별 추구 목표 >
○ 목적과 성과에 대한 척도를 명확히 정의
- 프로그램 성과, 시민참여, 자원투자에 대한 척도 개발
○ 외부 이해 당사자와 잠재적 파트너를 파악하고, 이들의 참여를 독려
- 행정적 지원, 소통 등 다양한 부문에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유도
○ 프로그램 수행 계획 수립 및 참여자 물색
○ 프로그램 수행 과정에서 참여자와 파트너를 참여
- 웹사이트, 소셜미디어, 홍보자료, 기자회견, 신문, 컨퍼런스 등 방법 활용
○ 적절한 데이터 보고 결과를 수집·평가
- 프로그램 수행 과정과 성과를 공개해 타 정부 프로그램에 지원
○ 관심 있는 파트너와 참여자들의 커뮤니티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