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과학기술자 육성 전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6-11-04
- 등록일 2016-11-07
- 권호 81
□ 영국 왕립학회에서는 정부 소속 과학기술계 종사자(GSE*)를 양성하기 위한 중장기 전략 보고서를 발표(‘16.10.)
* The Government Science and Engineering(GSE) Profession Strategy
※ 10대 전략으로 자부심 향상, 보상·인정, 과학정책 참여, 역량·기술, 인재관리·리더쉽, 인사파견·교류, 다양성·포용, 멘토링,
협업·네트워킹, GSE 대외홍보를 선정하고 각 비전 및 로드맵 제시
※ 정부 과학·공학 분야에 종사하는 공무원 수백 명의 의견을 모아 작성되었으며, 보상·인정체계 변화, 직무 경로 유연성 확보
등을 약속
① 자부심 향상
- 장관·고위직의 과학기술자 전문성 인지 및 정부 의사결정시 효율적 활용
- 호기심 해결사(myth buster)블로그 홍보, 공무원 표창(Civil Service Awards) 내 과학기술종사자 카테고리 신설, 아이디어
모니터링과 개발
② 보상 및 인정
- 맞춤형 임금 체계 및 명확한 보상 시스템 구축
- 임금 및 보상 검토 외부 위탁, 임금보상 모범관행 개발, 과학기술자 직원 출판물 지침 배포
③ 과학과 정책 참여
- 과학자가 실무자로서 역할을 이해하고, 정책 수립과정에 적시에 투입되어 효율적 조언을 제공
- 정책 전공 대학원 등 정책 교육훈련 기회 홍보, 과학기술종사자에게 교육훈련 기회 제공
④ 역량 및 기술
- 과학기술 종사자가 적합한 기술·지식 전문성을 활용하여 정부 우선순위와 부처 수요에 대응
- 핵심커리큘럼 개발·발표, 맞춤형 강의 개발
⑤ 인재관리 및 리더십
- 과학기술계 종사자는 전문기술직, 정책입안, 관리직 등 분야와 상관없이 커리어 향상 지원 및 교육훈련 가능
- SEFS(4년 임기제 과학기술 공무원) 지속 확대, 과학기술종사자 인재 프로그램 개발, 커리어 단계별 직무기술 강화, 인재
프로그램 적용
⑥ 인사파견·교류
- 지속적 직업개발을 위한 직무역량 강화, 신기술 습득, 기존 기술 강화 등을 위해 산·학·관간 자유롭게 이동
- 인사파견, 교류 관련 태스크포스 설치, 태스크포스 권고사항 반영, 사례연구 개발
⑦ 다양성 및 포용
- 연령, 민족, 성별, 성적 지향, 장애 및 사회경제적 배경에서 전체 사회를 반영
- 데이터 수집 개선, 우수 역할모델 발굴, 사례조사 개발, 다양성 및 포용적 인식 개선 캠페인
⑧ 멘토링
- 멘토링의 혜택과 모범관행 홍보 및 지속적 멘토링 지원
- 기존 체제 검토·발표, 과학기술 종사자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⑨ 협업 및 네트워킹
- 네트워킹을 통해 정보 교환을 증진하고 동료평가(peer review) 제공
- 전문가 네트워크 지원, 과학기술종사자 챔피언 교육훈련 자료 제공, 아이디어 모니터링·개발
⑩ 대외홍보
- 신진 과학자 및 엔지니어 커리어 추구
- RS Pairing Scheme(왕립학회 결연프로그램) 홍보, 취업 박람회 참여, 대학 내 정책 인식 개선 강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