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에너지 혁신 정책 소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11-04
  • 등록일 2016-11-07
  • 권호 81

□ 중국 칭다오 과학기술대학은 중국의 당면한 에너지 형세와 에너지 혁명의 시장주도형 정책을 소개(‘16.10.)

 

○ 석탄, 석유, 천연가스는 중국 3대 주력에너지이며, 그 중 석탄은 자원매장량이 풍부하여 중국의 주체 에너지이자 에너지 안보의

    핵심  

 

 - 중국의 1차 에너지 소비구조 중 석탄 소비 비중은 66%, 오일가스 23%, 풍력에너지, 태양에너지 등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11%를 차지 

 

 - 오일가스 자원 수급 부족이 커, 대외 의존도가 높음

 

 - 신에너지 비중은 점차 확대하는 추세로, 2030년 중국 신재생에너지 발전 전력 구조에서 비중은 40% 달성 전망 

 

□ 중국 정부는 향후 에너지 산업의 혁신을 위해 시장 주도형 정책을 발표

 

석탄 고효율·청정 이용 시장주도형 정책 

 

○ ‘14년 국무원은 <에너지 발전전략 행동계획(2014-2020년)>을 발표 

 

○ 같은 해 국무원은 <석탄화력 발전의 에너지절약과 오염물 배출감소 개선 행동계획(2014-2020년)> 발표 

 

○ <석탄 청정·고효율 이용 행동계획(2015-2020년)> 제시 

 

 - 에너지장비 수준향상, 석탄 생산품질 향상, 석탄 고효율 이용모델 발전 등  

 

비재래식 오일가스자원 개발이용 정책 

 

○ 최근 중국은 <셰일가스 탐사채굴과 감독관리사업 관련 통지>, <12차 5개년 셰일가스 발전계획>, <셰일가스산업 정책> 등 발표

 

  ※ 미국 에너지부 통계결과, 중국 셰일가스 채굴 가능 매장량은 13.5%로 세계 1위를 차지  

 

신에너지 발전모델 혁신 정책 

 

○ 국가에너지국의 <2016년 체제개혁 업무요강>은 수력·풍력·태양광 발전 포기 등의 문제해결에 주력할 것을 제시  

 

 - 신에너지 기술 개발과 시장경쟁 형성 등 혁신이 필요하고, 건전한 경쟁이 가능한 시장 메커니즘 구축이 요구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