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오픈사이언스 방향성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11-18
  • 등록일 2016-11-21
  • 권호 82

□ 문부과학성은 제 8기 학술정보위원회에서 「오픈이노베이션에 기여하는 오픈 사이언스 방향성」제시(‘16.10.)  

 

○ 오픈사이언스는 연구 성과 활용, 분야별 학제성 연구, 실용화 등에 크게 기여 

 

 - 국제적으로 과학데이터의 제공 및 장기 보존을 위한 ISU-WDS*(세계과학데이터시스템)설립(‘08)

 

  * International Council for Scientific Unions-World Data System  

 

 - 원활한 데이터를 공유하는 국제적 컨소시엄 Research Data Allicnace(RDA) 창설(‘13) 

 

 - 유럽(EUDAT), 미국(OSF) 등에서 오픈 사이언스를 위한 공통기반 정비  

 

○ 오픈 사이언스 추진 기반으로 연구 데이터 관리, 공개, 검색 시스템이 중요  

 

 - (데이터관리) 연구데이터 상시 관리 및 공개를 쉽게 할 수 있는 범용적 기능 제공, 개인·연구실·공동연구자간 폐쇄적 연구데이터

    관리 

 

 - (데이터 공개) 연구데이터 공개를 위한 범용적 리포지토리*

 

  * 정보 시스템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같은 각종 자원을 자원간의 관련까지 포함하여 관리하는 자원 관리 데이터 베이스 

 

 - (데이터 검색) 분야를 초월한 연구데이터 검색서비스로 국제적 검색기반과 연계 

 

< 연구데이터 기반 > 

 

○ 연구데이터 기반으로 연구의 발상부터 새로운 성과도출까지 체계적 지원 

 

< 연구데이터 기반 역할 > 

 

□ 오픈사이언스 데이터 정비를 위해 일본, 유럽은 연구데이터 기반 공통화 방안 모색 필요 

 

○ 일본의 강점인 공통 기반 정비 및 보급 등을 통해 연구 분야 간 연계 촉진  

 

 - 유럽에서 개발된 기반을 활용하고 JAIRO Cloud 성공유형을 결합하여 데이터기반 공통화 추진 

 

○유럽은 기존 인프라 계열의 프로젝트와 연계시키는 European Open Science Cloud 시스템 모색 중  

 

 - GÉANT(네트워크, 보안, 인증), EUDAT, EGI , PRACE(컴퓨팅, 데이터관리), OpenAIRE(연구성과검색, 연관성, 평가) 

 

○ 미국의 경우, 기관별 리포지토리의 활동을 개별적으로 추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