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혁신생태계 주요 성과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세계경제포럼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11-18
  • 등록일 2016-11-21
  • 권호 82

□ 세계경제포럼(WEF) 산하 글로벌 어젠다 중국 이사회는 ‘15~‘16년간 중국의 혁신 생태계 주요 성과 및 과제를

   분석한 백서 발간(‘16.8.)

 

  ※ 중국 혁신환경 평가 관련 12개 세계 경쟁력 지수 분석 

 

○ 중국은 막대한 시장규모가 가장 큰 장점이며, 12개 세계 경쟁력 지수에서 높은 수준을 일관되게 유지 

 

< 중국 글로벌 경쟁력 지수 >


< 중국 혁신 시스템 >

 

○ 중국은 혁신 생태계 조성에 투자를 증대하고 있으며, 막대한 규모의 소비자층의 잠재력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  

 

 - 연구·교육개혁, 시장지향적 기술혁신, 지식재산권 보호, 법률 개선 등으로 수년간 혁신생태계 환경이 꾸준히 개선 

 

 - 기업들의 역할이 강화되고, 첨단기술단지 및 시범구 등이 크게 증가  

 

< 중국 글로벌 경쟁력 지수 > 

2016 GAC 보고서

2014 세계경제포럼 기업 생태계 보고서 

생태계 요소

중국

미국

실리콘 밸리 

미국

기타 도시 

북미(미국/캐나다) 

유럽 

호주/

뉴질랜드 

아시아

(중국

포함)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멕시코 

접근 가능

시장

52 

44 

59 

53 

59 

74 

65 

68 

57 

인적자원,

인력

55 

63 

70 

67 

64 

41 

67 

59 

63 

자금 조달

및 금융

17

64 

62 

63 

49 

56 

56 

55 

63 

멘토/자문/자원 시스템

12 

35 

24 

29 

23 

33 

27 

14 

22 

규제 틀/

인프라

16 

10 

11

11 

21 

19 

27 

14 

33 

교육 및 훈련

10 

14 

12 

17 

15 

23 

18 

촉매로서의 주요 대학

17 

13 

5

0

문화적 지원

1% 

31 

19 

24 

10 

11 

32 

11 

 

○ 향후 신시장 개척 관련 핵심 요소로 인적자원, 접근 가능 시장, 규제 등을 언급 

 

□ 중국은 아직 핵심기술 발전, 기업혁신, 혁신지향적 규제개혁, 인재양성, 지식재산권 보호 등이 필요하며 4대 정책

   개선 방안 권고

 

○ 역동적 혁신기반 발전을 위한 정부 역할 증대 

 

 - 혁신가, NGO, 풀뿌리 단체 간 협력 촉진 

 

○ 기업이 혁신을 주도할 수 있는 중소기업 지원체계  

 

○ 혁신 인재 양성 및 활용  

 

 - 산·학·연 인력 유동성 강화, 외국 인력 유치 등  

 

○ 일대일로(一帶一路) 정책을 통한 경제적 개방 혁신 증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