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동, 변화의 바람을 불러오는 '디지털 혁신' 원문보기 1

  • 국가 사우디아라비아 , 이집트
  • 생성기관 맥킨지앤드컴퍼니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6-11-18
  • 등록일 2016-11-21
  • 권호 82

□ 맥킨지, 디지털 변방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중동’ 지역에 주목

 

○ 중동은 거대한 디지털 혁신과는 거리가 먼 지역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지난 10년 간 同 지역을 포함해 글로벌 지역 간 데이터

    유통이 150배 증가하는 등 변화의 분위기 감지

 

  ※ ‘05년 14.5Gbps → ‘15년 2,185.2Gbps로 증가 

 

○ 특히 아랍에미리트·바레인·카타르의 스마트폰‧소셜미디어 보급률은 각각 100%·70%를 넘어서며 디지털 시장을 선도

 

  ※ 디지털 보급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으며 이들 3개 국가는 미국을 능가하는 수준 

 

○ 하지만 디지털 기기·서비스 보급 등이 진작되고 있는 일반 소비자 시장과 달리 정부와 기업은 이러한 변화의 기회를 맞이하기

    위한 준비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  

 

 - 디지털화에 대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에도 불구하고 스마트 정부를 이행하고 있는 공공정부는 겨우 6%에 불과 

 

 - 또한 스타트업을 지원할 수 있는 벤처캐피탈 규모, 디지털 산업에 종사하는 인력 등 기업(Business) 디지털 부문 역량은 영국‧

   스웨덴‧노르웨이‧싱가포르 등에 비해 부족 

 

 - 혁신창출, 공공산업의 디지털 도입 촉진과 같은 디지털 이행을 더디게 하는 걸림돌로 부적절한 규제 등을 지적  

 

○ 이에 맥킨지는 중동 9개 국가를 대상으로 디지털 영향과 수준을 평가한 ‘디지털 지수(Digitisation Index)’를 발표하며 현안을

    파악하고 전략적 제언 등을 제시

 

  ※ 바레인‧이집트‧요르단‧쿠웨이트‧레바논‧오만‧카타르‧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 

 

 - 수요(Demand) 부문을 ▴소비자(Consumer) ▴기업(Business) ▴정부(Government)로, 공급(Supply) 부문은 ▴ICT공급·혁신(ICT

   Supply & Innovation)을 포함한 평가 지표 구성  

 

 - 총 13개 항목 등을 평가하여 레벨(low∼high) 도출

 

  ※ 주요 13개 항목 : 소비자(①인터넷 보급률 ②스마트폰 보급률 ③소셜네트워크 보급률 ④전자상거래) / 기업(⑤기술도입

      ⑥온라인 광고) / 정부(⑦ICT 프로모션 / ⑧ICT이용률) / ICT공급·혁신(⑨네트워크 커버리지 ⑩접속률 ⑪요금 ⑫특허

      ⑬상위 ICT기업 수) 

 

 - 상위 3개국(아랍에미리트·카타르·바레인)의 ‘소비자’ 부문이 우수한 평가를 받아 중동 지역의 디지털화를 이끄는 동력으로 주목 

 

 - ‘기업’과 ‘정부’ 부문의 디지털 격차는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ICT공급·혁신’ 영역에서는 전반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아 뒤처진

   것으로 분석 

 

 - 국가별로도 현저한 차이를 보인 가운데 ‘디지털 이니셔티브’ 전략 등을 전개하고 있는 아랍에미리트는 소비자·기업·정부 3개

   영역에서 상위 평가를 받아 프론티어로서 잠재력을 입증  

 

○ 더불어 1인당 국내 총생산(GDP)과 디지털 지수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  

 

 - 디지털 시장은 고용창출, 생산증대, 빈곤감소, 헬스케어와 교육의 질 향상, CO2 감축 등 다양한 경제적·사회적 이점을 내재  

 

 - 이에 중동의 디지털 시장은 연간 최대 3.8%의 GDP 상승효과를 창출하며 ‘20년 950억 달러에 달하는 GDP 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 

 

○ 전반적으로 중동 지역은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을 위한 국민의 열정과

    의지가 향후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 

 

□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4개 영역에서 10개 권고 사항을 제시 

 

○ 성장 잠재력을 내재한 중동의 가치에 주목하며 정부‧기업‧자금‧인재 분야 등에서 향후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전략적 제언을

    제시  

 

< 중동 지역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제언 >

 구분

 10개의 권고사항(Recommendations)

정부

① e정부 중심의 디지털 이니셔티브에서 본격적인 디지털 경제개발로 이행 

② 국가 디지털 기관 역량 강화

③ 디지털 혁신창출을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 수립

④ 독자적인 IT사업자를 육성할 수 있는 대규모 공공IT 시장 기회 포착

 기업

⑤ 디지털 플랫폼 구축

⑥ 기업 간 협업·교류 활성화

⑦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에 민첩하게 대응

 자금

⑧ 디지털 벤처캐피탈 자금규모와 투자기회 가능성 증대

 인재

⑨ 초등에서 고등교육까지 디지털 교과과정과 원활한 학습방안 마련

⑩ 디지털 인재를 유치할 수 있는 방법 고려 등

※ 자료 : 맥킨지앤드컴퍼니(McKinsey & Company), ‘16.10.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