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대변혁 시대의 국제과학기술 전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12-02
- 등록일 2016-12-05
- 권호 83
□ 제 8기 국제전략위원회에서 과학기술진흥기구(JST)는 과학기술·학술분야의 국제전략에 관한 대변혁시대의 국제
과학기술전략을 발표(‘16.11.)
○ 일본은 현재 연구개발 역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국제협력을 강조하는 추세임
- ‘11~‘13년 피인용 상위 10% 논문 국제공저를 살펴보면, 미국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중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순으로 나타남
< 주요국 피인용 상위 10% 논문 국제공저 비교 >
○ 미국과 중국의 국제공저 상대국을 보면, 미국은 중국, 독일·영국, 한국, 캐나다 순이며 중국은 미국, 호주·영국·홍콩, 싱가폴 순임
- 미국, 중국의 공저 상대국으로 일본의 지위 상대적으로 저하
○ 일본의 연구개발 투자도 둔화되고 있으므로, 향후 연구개발 국제화가 핵심 이슈로 부각
□ 과학기술 글로벌화 과제로 신규사업 추진, 기존사업 개선, 국제공동연구 프로그램 개선, 산학협력 강화, 정보기능
강화, 국제동향 파악 등을 제시
① 신규 사업 착수
- 기초연구의 영향력 확대를 위한 「미래사회창조사업」신설(‘17년 예산안 반영)
② 기존 사업 개혁(전략창조사업 등)
- 기획단계에서 필요한 국제협력 및 해외진출 검토
- 연구개발사업의 국제화 활동 지원 확대
③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관점을 반영하여 국제공동연구지원사업 등 개혁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글로벌 과제 대응 국제과학기술협력 프로그램(SATREPS)
· 아프리카로의 확대를 노력 추진 및 성과 연계 가능성 증대
- 전략적 국제공동연구프로그램(SICORP)
· e-ASIA JRP : 과학외교상 중요한 ASEAN 지역에 전략적 접근을 위한 일본 다자간 네트워크
· CONCERT-Japan, V4 국가간 협력 : 다자간협력 사례로 타국가에도 적용 가능성 검토
· 국제공동연구거점 : 주요국가 및 지역의 협력 거점으로 일본 및 JST 위상 제고에 활용
④ 산학협력 확대
- 오픈 이노베이션 거점 뿐 아니라 국내·외 거점(COI, 이노베이션허브, 산학공동창조플랫폼 등) 연계
⑤ 정보분석·전략마련 강화
- 연구분야에 적합한 상대국가, 기관, 연구자와의 연계를 위한 정보분석 기능 및 전략 마련
⑥ 커뮤니티 참여·홍보
- AAAS, ESOF 등 국제 대화의 장에 참여함으로 국제동향 파악 및 정책 홍보
□ 향후 일본은 과학기술 외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달성을 위한 과학기술이노베이션을
주도해 나갈 계획임
○「STI for SDGs」를 위한 검토체제는 정비해 가고 있으나,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대응방안 논의 필요
- STI를 통한 공통과제 해결 및 역량 개발 사례를 구조화하여 범 국가적 차원에서 추진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