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13·5 산업기술 혁신능력 발전계획’공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6-12-02
  • 등록일 2016-12-05
  • 권호 83

□ 공업신식화부는 산업기술 혁신능력 제고를 위한 <산업기술혁신능력 발전계획(‘16~‘20)>을 공표(‘16.10.)

 

○ 기존 국가 중점계획을 기반으로 공업·정보화 분야 설정, 기술혁신 능력 제고, 공업전환 촉진을 목적으로 제정 

 

 - <중화인민공화국국민경제·사회발전 13·5계획요강>, <중국제조2025>, <국가혁신주도발전전략요강>, <13·5국가과기혁신계획>

   등을 준수 

 

 - 경제발전 뉴노멀(신창타이)에 대응을 위한 산업혁신능력 요구

 

  ※ 12·5기간 중 공업기술 특허 신청 수는 445만 건으로 연평균 26% 수준에 그침 

 

○ (발전목표) 2020년까지 산업기술 혁신 제고, 기업 혁신역량 강화, 공업기업 지식재산권 향상, 표준 혁신 제고 등 제시  

 

< 4대 발전목표 > 

 



































 구분

 내용

산업기술
혁신 제고

 ㅇ 15개 국가제조혁신센터 및 성급 제조혁신센터 구축 

 ㅇ 100개 공업정보부 중점실험실 육성 

 ㅇ 60개 산업기술 기초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 

기업 혁신
역량 강화

 ㅇ 300개 이상 국가기술혁신시범기업 인가 

 ㅇ 공업기업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연구개발 비중 1.17% 이상 

 ㅇ 선도기업의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연구개발 비중 3% 이상 

공업기업
지재권 향상 

 ㅇ 공업기업의 매출액 1억 위안 당 발명 특허는 0.61건 달성 

표준혁신 제고 

 ㅇ 지능형 제조 등 중점분야에서 1만개 이상 표준 제정 

 ㅇ 중국 주도로 국제표준 120개 이상 수립 

 ㅇ 중점분야 국제표준 전환율 90% 이상 달성 


□ 중점 추진방향으로 6대 정책 중점방향 및 4대 기술 중점방향 제시

 

【정책 중점방향】 

 

○ 산업혁신체계 개선 

 

 - 제조업혁신센터를 활용하고 공공서비스플랫폼을 주요 기반으로 하여 제조업 혁신망 구축, 공업신식화부 중점실험실 육성,
   산업혁신플랫폼 구축 

 

기업 주도 기술혁신 강화  

 

 - 혁신형 선도기업 육성, 기업주도 산업기술 연구개발 체제 개선, 디자인 혁신 주도, 산업창업투자기금 설립 지원, 대중창업만중

   혁신 플랫폼 구축  

 

○ 공공 핵심기술 개발역량 확대  

 

 - 공공핵심기술 발전지침서 발표, 산업분야별 산학연 협동혁신 전개 및 혁신연맹 구축, 성과 이전 강화  

 

○ 기업 지식재산권 운용 강화 

 

 - 기업의 핵심기술 개발, 산업화 등 가시사슬 내 상위단계로 도약할 수 있는 능력 강화, 시장주체가 지식재산권 협동 운용을

   전개하도록 추진 

 

○ 표준화 체계 개선 

 

 - 표준체계 구축 강화, 기업 주체 중국 기술표준 제정 지원 

 

○ 지역 혁신능력 육성  

 

 - 경진기(베이징·텐진·허베이) 협동발전, 장강경제벨트 발전, 지역 간 협동혁신망 구축, 지역별 차별화 발전전략 추진 

 

【기술 중점방향】 

 

고효율·그린 재료·소재 공업 발전 및 환경보호  

 

 - 철강, 비철금속, 석유화학, 건자재, 신소재 공업 분야 재료 및 연구개발 강화  

 

첨단장비제조업 발전 및 기초능력 제고 

 

 - 기계, 항공우주장비, 해양공정장비 및 첨단기술선박, 첨단궤도교통장비, 에너지 절약 및 신에너지 자동차 핵심기술 개발 및

   성과 창출  

 

고부가가치 제품 발전 및 가치사슬에서 상위단계로의 이동 촉진  

 

 - 경공업, 방직공업, 바이오 의약 및 의료기기  

 

차세대 IT산업 발전 

 

 - 전자정보제조, 통신기술 개발, 소프트웨어와 IT기술 서비스업 향상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