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국가 첨단기술개발구 창업 성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고신기술산업도보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16-12-02
  • 등록일 2016-12-05
  • 권호 83

□ 최근 ‘대중창업 만중혁신*’ 열풍으로 인한 창업 수요 증가에 따라, 과기부는 인큐베이터, 첨단기술개발구 등 주요

   창업주체의 성과를 발표(‘16.11.)

 

  * ‘13년 3월 양회에서 리커창 총리는 국민 창업을 위한 각종 행정규제 축소·철폐 및 자금 지원을 선언 

 

○ ‘창업중국’ 정책기조 아래, 중관촌을 시작으로 전국적으로 창업 성과 증가 

 

 - ‘12년부터 정부는 총 5회 중국 혁신대회를 개최하여 9.3만 창업기업 및 단체가 참여, 창업투자액 100억 위안 이상, 은행신용

   대출액 200억 위안 이상임 

 

 - ‘15년 말 과기기업 인큐베이터 규모 2,530개, 인큐베이팅 기업 10만 개, 대중창업공간 2,300개, 서비스 창업기업

   초기 기업 12만 개 

 

< 과기형 기업 인큐베이터의 11·5기간과 12·5기간 성과 > 

 

과기기업
인큐베이터(개) 

육성기업
(만개) 

졸업기업 (만개) 

취업 해결 (만명) 

상장·오픈 기업(개) 

11.5기간 

896 

5.6 

3.6 

117.9 

119 

12.5기간 

2,530 

10.2 

7.5 

165.8 

822 

증가율 (%) 

182 

82 

108 

41 

591 

 

○ 지난 20년 동안 국가혁신개발구, 첨단기술개발구는 147개로 증가하였으며, 중국 혁신발전의 핵심 엔진 역할을 담당  

 

 - ‘15년 말 기준 50만개의 기업이 첨단기술개발구에 입주, 총 수입 25조 위안(425.68조원), 단지 총생산액 8.1억 위안, GDP 비중

   11.9%, 수출액 4,733억 달러(중국의 18.5%)   

 

< 첨단기술산업개발구 과기혁신자원 현황 (2015년 말 기준) >

 구분

 수(개)

 중국 내 비중(%)

과기기업인큐베이터

1,354

53.5

국가급 인큐베이터 

370

50.3

과기부 등록 대중창업공간

221

45.0

국가대학과기원

53

46.8

생산력촉진센터 

313

11.6

국가급 시범생산력촉진센터

82

33.2

국가기술이전시범기관

235

51.9

국가산업기술혁신전략연맹

129

-

국가 관련 자격 보유 제품검사측정기관

540

-

국가중점실험실

318

68.4

연구기관

2,415

-

국가 인정 기업기술센터

505

42.5

대학 

753

-

국가공정연구센터

97

73.5

국가공정기술연구센터

217

60.3

국가공정실험실

108

68.4 

 

○ 국가 첨단기술개발구의 4대 주요특징은 다음과 같음  

 

 - (혁신능력 제고) ‘15년 첨단기술개발구의 혁신능력지수는 180.9점으로 전년대비 15.3%p 향상 

 

 - (혁신창업 생태환경 최적화) ‘15년 80%이상의 첨단기술개발구는 창업투자 유도 메커니즘을 구축하여, 1,354개 과기기업

   인큐베이터, 53개 국가대학과기원이 입주  

 

 - (중국혁신 주도) 첨단기술개발구 내 입주기업의 GDP대비 R&D 투자비중과 R&D 인력은 중국 평균의 2.7배와 14.6배이며,

   만 명 당 발명특허 등록량, 유효 발명특허 보유량은 중국 평균의 9.2배와 8.7배에 이름 

 

 - (시범견인차 역할) ‘15년 첨단기술개발구내 첨단기술제조업과 첨단기술 서비스업 기업 매출액 등 주요 경제지표는 첨단개발구

   전체 비중의 30%이상을 차지 

 

○ 국민 창업을 지원할 수 있는 중창공간’(衆創空間)*인 창업지원플랫폼을 구축하여 경제성장의 새로운 발전 도모

 

  * 기존 첨단기술개발구, 인큐베이터에 창업카페 등의 새로운 인큐베이팅이 추가된 개념으로 온·오프라인 공간, 투자시스템 등을

    총망라한 창업지원 플랫폼을 의미 

 

 - 올해 <전문중창공간 구축사업 요강>이 발표되어, 17개 전문 중창공간을 지정 

 

 - 가장 대표적인 중창공간으로 베이징 ‘중관촌 창업거리’가 조성되었으며, 현재 20여개의 스타트업지원사, 200여개의 펀드

   프로젝트, 400여개의 창업가 팀이 활동 중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