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SW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글로벌 기업 대응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미국 , 중국
  • 생성기관 매일경제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6-12-16
  • 등록일 2016-12-19
  • 권호 84

□ 글로벌 ICT업계의 무게 중심이 HW→SW로 이동 

 

○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격화된 SW 경쟁력 확보 경쟁이 최근 IoT와 맞물려 스마트홈·커넥티드카 등 가전과 자동차 신사업으로

    확장되며 SW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  

 

○ 또한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 중 애플·구글·MS·오라클 등 OS·플랫폼을 보유한 기업이 절반을 차지하는 등 SW 경쟁력은 기업의

    경쟁력을 가늠하는 핵심가치 

 

 - 글로벌 IT 100대 기업의 SW·HW 시가 총액 변화를 살펴보면, HW는 2005년 69%에서 2015년 48%로 감소한 반면, SW는 31%에서

    52%로 증가(S&P Capital IQ, ‘16.2.24) 

 

□ 글로벌 ICT 주요 기업은 비즈니스 변화를 시도하며 SW 중심 환경에 순응

 

○ (GE) 분야별·직군별로 구분이 견고한 제조업에서 산업 다각화가 가능한 SW 기업으로 전환하기 위해 ‘15년 SW 회사로 변신을

    선언한 데 이어 올해는 ‘AI’ 회사로 진화할 것을 예고 

 

 - ‘20년까지 세계 10대 SW 기업 진입과 SW 사업 분야의 매출을 연간 150억 달러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공식적으로 발표(9.21) 

 

 - 이어 연례 디지털 콘퍼런스(마인드+머신2016) 기조연설(11.15)에서는 ‘20년까지 산업 인터넷(산업용 AI 분야)에서 150억 달러,

   제조 혁신 분야에서 10억 달러 매출 달성 등 분야별 구체적 목표를 제시 

 

< 최근 SW관련 기업 인수 사례 >



























































(가) GE

(나) 삼성전자

날짜

인수기업

비고

날짜

인수기업

분야

11.14

 

서비스맥스
(ServiceMax) 

- 현장관리서비스 솔루션회사
- 9억 1,500만 달러에 인수

6월 

 

조이언트

 미국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애드기어

 캐나다 디지털 광고 스타트업

11.15 

 

와이즈아이오
(Wise.io)

- AI 스타트업
- 인수조건 비공개

10월 

 

타키온

 미국 SW 솔루션 업체

비브랩스

 미국 AI 플랫폼 개발 기업

11.15 

비트스튜
(Bit Stew Systems)

- 산업용 SW 개발회사
- 1억 5,300만 달러

11월

뉴넷 캐나다

 캐나다 메신저 기술 개발 업체

※ 자료 : 각 사, 언론자료 정리

 

○ (삼성전자) 자체 OS 타이젠의 확산에 초점을 맞추는 한편 M&A을 통해 SW 생태계 확보를 위한 본격적인 사업구조 재편에

    돌입 

 

 - 특히 타이젠 OS는 스마트폰을 비롯해 태블릿·웨어러블·TV·스마트가전 등 다양한 전자·IT 제품에 고루 적용되면서 IoT

    플랫폼으로 주목 

 

  ※ 삼성 외 러시아 ‘디그마’가 자체 태블릿PC에, 중국 ‘화웨이’는 스마트워치에 타이젠을 적용할 예정 

 

 - 국외 기업 인수 패턴도 과거에는 국외 생산거점 확보를 위한 투자나 기업 인수가 주류를 이뤘고, 업종도 반도체나 가전

   중심이었으나 최근에는 AI·자율주행·모바일 플랫폼 등 SW 관련 기술에 초점 

 

○ (오라클) 이미 컴퓨터 SW 기업으로 자리매김했으나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며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며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SW 

 

 - 아마존이나 MS와 같은 인프라스트럭처 플랫폼 서비스 강자와 경쟁하기 위한 조치로 도메인 네임 서비스(DNS) 제조업체인

    ‘딘(Dyn)’을 전격 인수(11.21) 

 

□ 4차 산업혁명을 비롯한 ICT 산업의 기반기술인 SW 역량제고에 주력

 

○ 기업의 가치를 좌우하는 무게중심이 SW로 이동하면서 정부·개인 등 사회 전반적으로 SW에 대한 본질이해와 인식제고 필요 

 

○ 특히 글로벌 업체의 HW 기술력이 상향평준화되면서 SW 차별화는 중요한 과제로 부각 

 

 - 이에 정부는 우수한 ICT인프라와 HW기술력을 SW와 결합해 새로운 미래성장동력, 혁신제품, 시장창출을 촉진하며 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중장기 인프라를 조성하고, 

 

 - 창의적 아이디어가 SW와 결합해 성공적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아이디어 발굴부터 해외진출까지 전주기적

    지원 등을 위한 R&D 투자 확대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