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선진국에 앞서 세계 최장 양자통신망 개통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연합뉴스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6-12-16
  • 등록일 2016-12-19
  • 권호 84

□ ICT 시장에서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양자정보통신 시장에 대한 기대감 확산  

 

○ 글로벌 양자정보통신 시장규모는 ‘15년 3.3조 원에서 연평균 10.4%로 성장하여 ‘20년 5.5조 원이 될 것으로 예측(Matket

    Reseatch Media, ETRI) 

 

  ※ 일반적으로 시장조사기관에서 ‘Quantum Computing’이란 표현으로 양자정보통신을 지칭하고 있으며 양자암호·양자컴퓨터·

      과학기술응용 등을 통칭 

 

 - 지금까지는 양자암호통신, 양자컴퓨터 및 양자응용계측 등의 기술개발용 장비·설비 중심으로 성장했으나 앞으로는 국방 및

   행정망, 보안시장 등을 중심으로 상용화가 진행될 전망 

 

 - 또한 ‘20년 이후에는 양자암호통신 분야뿐만 아니라 전자기센서, 중력센서, 초정밀 이미징센서 등 정밀 제어계측 영역으로

   시장이 급속하게 형성될 것으로 기대 

 

< 양자정보통신 시장 규모 전망 >

※ 자료 : Matket Reseatch Media, ETRI 재인용  

 

□ 중국은 양자위성 발사 성공에 이어 세계에서 가장 긴 양자통신망을 개통

 

○ ‘03년부터 양자통신에 투자를 해왔으며 8.16일 양자통신 위성인 ‘묵자호’를 발사해 지구 궤도에 올리며 세계 양자통신 시장을

    선도하는 퍼스트 무버 지위를 획득 

 

○ 이어 최근 안후이(安徽)성 허페이(合肥)에서 상하이(上海)까지 도·감청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양자통신 네트워크 건설을

    성공적으로 마무리(11.20) 

 

○ 8월 세계 최초로 양자위성 묵자호를 발사한 중국이 통신망까지 개통하면서 세계 최초 상용화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는

    평가 

 

□ 중국 외에 주요국도 지속적인 양자통신 기술 연구

 

○ (미국) ‘98년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에서 지상 1km 거리에서 세계 최초의 무선 양자통신을 성공시킨 이후 비공개적으로

    연구 

 

○ (유럽) ‘06년 ‘Quantum Europe·QUROPE’으로 공동 연구를 시작했으며 ‘16.5월, ‘18년부터 시행하는 ‘Quantum Technology

    Flagship’에 10억 유로를 투자한다고 발표  

 

○ (일본) 국립정보통신기술연구소(NICT) 주도로 ‘20년까지 유선 양자통신 기술을 상용화하고, ‘40년까지 위성을 이용한 무선

    양자통신망을 구축할 계획 


□ (우리나라) 정보통신 인프라 보호를 위해 광통신 기반의 양자암호통신 기술 개발에 대한 필요성에 따라 ‘14.12월

   미래부는 ‘양자정보통신 중장기 추진전략’ 마련

 

 - 중장기 추진전략의 실행을 위해 ‘15년부터 ICT R&D 지원 사업에 양자정보통신 분야를 추가하여 3개 분야에서 총 7개 과제(‘16년

   기준, 약 74억 원 규모)를 진행 

 

< 양자암호통신 분야 연구개발 과제 현황 > 











































구분

과제명

수행기간

'16년 기준 정부 지원금

기술개발

 통신장비에 적용을 위한 양자이론 기반의 퀀텀 리피터

 기술연구

‘12.9.~‘17.8.

2.55억 원

 양자암호 네트워킹 핵심기술개발

‘14.4.~‘19.2.

9.5억 원

 양자암호통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13.5.~‘17.4.

10억 원

 양자암호통신망 구축을 통한 신뢰성 검증 기술 및 QKD

 고도화를 위한 핵심 요소 기술 개발 

‘15.8.~‘18.7.

41억 원

 새로운 양자암호통신 프로토콜 개발

‘15.8.~‘18.7.

2억 원

인력양성

 대학 ICT 연구센터(ITRC) 사업

‘15.8.~‘18.7.

8억 원

표준화

 양자암호통신 분야 QKD 기술 표준개발 

‘15.9.~‘18.8. 

0.99억 원

※ 자료 : IITP, 주간기술동향 1750호(6.15) 

 

□ 새롭게 도래하는 패러다임에 적극 대응

 

○ 빅데이터·인공지능·자율주행차 등 첨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보안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가운데 절대 보안을 추구하는 양자

    통신이 점차 상용화에 다가서며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를 예고 

 

○ 이에 양자암호통신뿐 아니라 관련 칩, 소자개발과 양자컴퓨팅까지 아우르는 중장기적 기초·응용연구 투자를 확대하고 양자정보

    통신 글로벌 선도국가로 거듭나도록 적극 지원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