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17년 산업경쟁력 강화 실행계획(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3-03
  • 등록일 2017-03-06
  • 권호 89

□ 미래투자회의*는 「일본재흥전략 2016」에 기재된 향후 3년간 실시되는 규제 중심의 내용을 명시한 「‘17년 산업

   경쟁력 강화 실행계획(안)」 추진현황 및 실행계획을 발표(‘17.1.)

 

  * 경제성장 전략 추진을 위한 사령탑 역할을 하는 일본경제재생본부(본부장: 총리)하에서 개최되는 회의 

 

○ (추진성과) 일본산업진흥계획 관련 산업 생태계 촉진, 고용제도 개혁, 대학 개혁, 세계 최고수준 IT실현 등 일본재흥전략에

   명시된 정책 성과 도출 

 

○ (실행계획) 새로운 유망시장 창출, 이노베이션·벤처 창출 강화, 해외 성장시장 확보 관련 정책 항목 소개  

 

【추진성과】 

 

1. 일본산업진흥계획  

 

정책 항목

핵심성과목표

추진 현황

산업 생태계 촉진

향후 3년(‘15년)까지 설비투자를 리먼쇼크 이전 수준(연간 약 70조엔)으로

회복

 - ‘17년까지 고도인재 5,000명 목표

 - ‘16년 「벤처챌린지2020」을 채택하고, 정부관계기관

   간 컨소시엄 설치
 - 「신산업구조비전」중간정리

고용제도 개혁 인재강화

향후 5년간 실업기간이 6개월 이상인 구직자 ‘18년까지 20% 감소

 - 「특정고도전문업무·성과형 노동제도 마련」등을

   포함한 노동기준법 일부 개정 심의 중
 - 실천적 직업교육을 실시하는 새로운 고등교육기관 강화

대학 개혁 및 과학기술혁신  

민관합계 GDP대비 연구개발투자 비율 5년 이내(‘15년까지) 4% 달성

 - 국립대학 법인법의 일부를 개정하여 지정국립대학법인

   제도 도입(3개 법인 지정, ‘17.4월 시행예정)
 - 경쟁적 연구비의 간접경비 집행 제도화 방안 검토
 - 생활지원로봇 및 로봇시스템 안정성 확보 가이드라인

   작성
 - 인공위성 발사 및 인공위성 관리에 관한 법률 가결 

세계 최고수준 IT사회 실현

향후 2년간(‘15년까지) 사이버 공격

대응 관련 국제협력 및 대화 상대국

수를 ‘13년 80개국에서 30% 증대 

 - 사이버 보안기본법 및 정보처리 촉진 법률 개정, 사이버

   보안인재육성종합강화방침 채택
 - 공유경제추진프로그램 마련

지역활성화

 - 창업율 4.6%(‘12) → 5.2%(‘15)
 - 폐업율 3.8%(‘12) → 3.8%(‘15) 

 - 금융중개기능의 벤치마킹 공표

 

 

【실행계획】 

 

2. 새로운 유망시장 창출 

 

구분

정책 항목

4차산업혁명 실현

 ▪ 무인자율주행을 포함한 고도 자율주행 실현을 위한 환경정비
 ▪ 소형 무인기 산업이용 확대를 위한 환경정비
 ▪ 제조업에서 loT 추진
 ▪ 공유경제 추진
 ▪ 데이터 활용 촉진을 위한 환경정비
 ▪ 중견중소기업에 대한 IT,로봇 활용 촉진에 의한 4차 산업혁명 파급
 ▪ 사이버 안보 확보 

최첨단 건강입국

 ▪ 로봇센서 등 기술을 활용하여 간병의 질 및 생산성 향상
 ▪ 빅데이터 활용으로 혁신 창출, 의료현장 및 정책 활용 

서비스산업 활성화

 ▪ 서비스 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견인하는 선도기업 창출  

 

3. 이노베이션 벤처 창출력 및 해외시장 확보 

 

구분

정책 항목

이노베이션 벤처 창출 

 ▪ 조직 대 조직의 본격적 산학협력
  - 지정국립대학법인제도 및 특정국립연구개발법인제도 반영
 ▪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식 재산 등 제도정비
 ▪ 지식재산 표준화 인재 육성 

다면적 접근에 따른 인재 육성

 ▪ loT,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을 선도하는 최고 수준의 정보인재 육성
 ▪「4차 산업혁명 인재육성 추진회의」개최 

해외성장시장 확보 

 ▪ TPP 계기 중견·중소기업 해외 진출 지원
  - 신수출대국 컨소시엄 하에 지원기관 간 연계
 ▪ 인프라 시스템 수출 확대 
  - 인프라 시스템 수출 전략 등 정책 공표 

 

4. 해외성장시장 확보 및 개혁 2020 추진 

 

구분

정책 항목

신흥시장 수출확대  

 ▪ TPP 계기 중견·중소기업 해외 진출 지원
  - 신수출대국 컨소시엄 관련 지원기관 간 연계를 통해 일본기업 해외시장 개척 종합 지원 추진
 ▪ 인프라 시스템 수출 확대  

개혁·혁신 가속화

 ▪ 차세대 도시교통시스템 자율주행기술 활용
 ▪ 첨단 로봇기술을 활용한 미래사회 실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