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정부 지원이 필요한 기초과학 분야 제안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7-03-17
  • 등록일 2017-03-20
  • 권호 90

□ MIT는 기초과학 R&D에 대한 정부투자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정부지원 없이 미래혁신 창출이 어려운 13개

   연구분야*를 제안(‘17.2.)


  * The Future Postponed 2.0: Why Declining Investment in Basic Research Threatens a U.S. Innovation Deficit


○ 최근 미국 기초연구 투자의 정체 및 감소에 따라, 미국 혁신 결핍 현상을 초래


 - ‘05년 이후 연방정부의 R&D 예산이 정체되어 왔으며, ‘11년 예산관리법으로 ‘23년까지 정부 재량지출액이 장기적으로 제한


 - 그 결과, 중국의 양자통신위성 발사, EU의 첨단에너지기술 투자 등 타국가의 첨단연구분야 R&D 투자가 미국을 추월 

 

○ 향후, 정부 지원 없이 위험에 처한 미래 창출 기초 연구 13개 분야 제안  


< 정부지원이 필요한 미래 혁신 창출 기초연구 > 

 구분

 13대 기초연구

 세부 내용

 1

 

 

 


합성단백질

 

 ◾ 인공적으로 조합한 단백질을 통해 새로운 물질과 소재 창출
 ◾ 향후 5년 동안 1억 달러 필요

 2

 

 

 

지구 삼림 예측

 

 
 ◾ 지구 삼림 데이터 구축으로 삼림 분포 분석 및 미래 변화량

    전망
 ◾ 관측지 확대 및 과학자 훈련 지원에 각각 1억 달러 필요 

 3

 

 

 


생체 시계연구

 

 ◾ 생물학적 과정을 통제하는 생체 시계의 작용 연구

 4

 

 

 


인체 세포 총 조사

 

 ◾ 인체 내 세포 분류 및 특성 지도화
 ◾ 향후 5년간 5,000만 개의 세포 분석 계획 

 5

 

 

 

 인체 엑스포솜

연구

 

 ◾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소, 바이러스, 화학물질 등 외부

    인자 조사 

 6

 

 

 


6차 대량 멸종시대

 

 ◾ 6차 대량 멸종 현상 실현여부와 과거 멸종현상의 원인 분석

 7

 

 

 


바이러스 생태학

 

◾ 바이러스 감염과 증식으로 지구적 탄소 배출에 미칠 영향

   연구 

 8

 

 

 

 암흑 물질 연구

 

 ◾ 우주 공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암흑 물질 탐지
 ◾ 공공 민간 부문에 연구지원을 받아왔으나, 현재 3년 동안

    수행하기에 예산이 부족

 9

 

 

 

 

우주의 기원

 

 ◾ 우주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신규 망원경 및 천체 관측소 설립
 ◾ 5년 동안 운영할 충분한 예산 부족

 10

 

 

 

 

중성 미립자 검출

 

 ◾ 중성 미립자를 탐지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첨단 입자

    가속 시설 건설
 ◾ 현재 입자가속기보다 10배 용량의 첨단시설 건설 계획 포함

 11

 

 

 

첨단촉매제를

활용한 청정에너지

생산

 

 ◾ 물과 이산화탄소를 청정에너지를 통해 재조합하여 새로운

    촉매제 개발  

 12

 

 

 

북극 조기경보

시스템

 

 ◾ 북극 기후 및 생태계 변화 관찰을 통해 지구 전체 조기 경보

    시스템 활용
 ◾ 6주간의 하계탐사 쇄빙선 운용에만 200만 달러 소요 

 13

 

 

 

적응광학을 활용한

천체관측

 

 ◾ 적응광학 기술 활용으로 지상 천체관측소 선명도 확보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