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과학기술학술협력 국제 활동 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7-03-17
- 등록일 2017-03-20
- 권호 90
□ 문부과학성 과학기술·학술심의회 국제전략위원회에서는 과학기술·학술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국제화 활동 과제를
발표(‘17.2.)
【현황】
○ 일본 연구원의 국제적 유동성은 구미 선진국이나 중국 대비 낮은 상황
- 해외에서 유입된 연구원 추이는 ‘00년 최고치를 기록한 후 정체, 일본으로부터 해외로 파견된 연구원 수는 ‘00년 감소하기 시작
하여 ‘14년 40% 감소
※ 귀국 후 일자리에 대한 우려 및 해외 도전기회 부족으로 인한 연구자의 폐쇄적 경향과 중국·인도 등 신흥국 성장에 따른 자리
경쟁 격화 등이 감소 원인임
< 해외파견 연구원 및 해외 유치 연구원 규모(‘03, ‘15년) >
○ 일본의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는 ‘03년 세계 점유율 5.7%(4위)였으나, ‘13년 3.3%로 하락하여 미국, 중국, 영국,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일본 순으로 나타남
- 일본의 경우, 피인용 상위 10% 논문 수 중 국제 점유율이 가장 높은 미국 공저 상대국 순위는 ‘01~‘13년 4위에서 ‘11~‘13년
7위로 하락
< 세계 과학 관련 출판물(‘03년) > |
< 공저 논문 현황(‘15년) > |
|
|
【대응방안】
◾ 목표 :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통한 국제적 위상 제고 |
① 연구의 국제화
- 경쟁적 자금제도 및 운영비 교부금 지원을 통한 연구 국제화 필요, SDGs 등 국제환경을 반영한 다양한 양자 및 다자간 공동연구
기회 증대
- 연구개발프로그램의 전략적 국제협력을 도모하고, 국제 활동 관점을 도입하며 이를 평가에 반영
② 국제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신진연구자 육성
- 박사과정 학생 및 신진연구자를 대상으로 국제공동연구 기회 증대 및 해외경험 기회 지원
- 해외파견비용 지원 제도 확충 및 우수 인재 확보를 위한 브랜드화 추진
③ 국제적 연구 환경 구축
- 국제공동연구의 조기 실시가 가능하게 하는 심사방법을 도입하여 국제 수준 연구 환경을 구축
【향후과제】
○ 연구기관 등 조직 내 부서별 국제화 관심 강조
○ 선택과 집중 전략을 통해 한정적 자원(연구자금, 인재 등) 관련 국제연구네트워크 목표 및 기간 설정 필요
○ AI 분야의 선진국과의 협력 및 중국·ASEAN을 포함한 아시아 신흥국과의 협력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