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7 글로벌 기술혁신 허브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7-03-31
  • 등록일 2017-04-03
  • 권호 91

글로벌 컨설팅 기업 KPMG는 미래 하이테크 혁신도시 및 글로벌 리더를 조사한 글로벌 기술혁신조사 보고서* 발표(‘17.3.)


  * The Changing Landscape of Disruptive Technologies


  ※ 포춘 500대 기업 841명의 기업·벤처캐피탈 임원, 엔젤투자자 등을 대상으로 설문


○ 파괴적 기술혁신의 잠재성이 가장 큰 국가로 미국(26%), 중국(25%), 인도(11%), 영국(10%) 순으로 답변


 - 미국은 작년대비 1% 하락한 반면, 중국은 2% 상승하였고, 영국은 정부의 적극적 창업투자 정책으로 작년대비 6% 상승


차세대 기술혁신 허브도시로 중국 상하이1위에 선정되었으며, 뉴욕, 도쿄,베이징, 런던 순임(실리콘밸리, 샌프란시스코

    제외) 


< 2017 KPMG 선정 미래 혁신 허브 도시>

 순위

도시명(국가)

 순위

 도시명(국가)

1위

상하이(중국)

6위

베를린(독일)

2위

뉴욕(미국)

시카고(미국)

3위 

도쿄(일본)

워싱턴 D.C.(미국)

베이징(중국)

9위

보스턴(미국)

5위

런던(영국) 

텔아비브(이스라엘)


 - 상하이는 푸동지구 금융센터, 첨단기술산업단지, 디지털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집중으로, 향후 글로벌 혁신 중심지로

    부상할 전망

 
글로벌 기술 리더로는 테슬라 엘론 머스크가 1위, 애플 팀 쿡 CEO이 2위, 혁신 선도기업으로 구글, 애플, 마이크로

   소프트 등 미국기업이 선정 


< 글로벌 기술 혁신을 주도하는 혁신가 및 혁신 기업 >

 순위

혁신가

순위

혁신 기업

 1위

 엘론 머스크

 1위

 구글

 2위

 팀 쿡

 2위

 애플

 3위

 잭 마, 래리 페이지,
선다 파차이

 3위

 마이크로소프트

 4위

 사티아 나델라

 4위

 IBM

 5위

 빌 게이츠, 마크 저커버그

 5위

 아마존, 테슬라


○ 설문결과, 혁신이 R&D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전략계획, 사업단위, 씽크탱크, 정보기술, R&D 등 혁신 생태계 구축이  

    핵심요인으로 인식


< 혁신 경영 핵심 요인 > 

 

 

 

○ 기업 혁신문화 방안으로 재정적 인센티브(27%), 경력발전(24%), 내부적 인정(14%), 시간 배분(12%), 외부적 인정(10%)

    순으로 활용되고 있음


세계 기술 선진국의 혁신역량 분석 중 한국은 첨단 전자기기 제조업 역량을 높이 평가받음


○ 한국은 삼성, LG, SK 하이닉스 등 첨단전자기기 제조업에서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매년 1,700억 달러(90조원)를 수출

    하는 등 세계적 성과를 도출


 - 지난 2년간 연속해서 전자기기 생산액이 감소한 점은 일부 우려를 낳고 있으나, 판교 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창업 허브가 확대

    되고 있는 추세


 - 기술기반 기업의 R&D 투자 비중이 GDP의 1.8%를 차지하고 있고, 고급 인력을 통한 글로벌 기술혁신을 주도할  전망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