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바이오 기술 제품 관련 규제 정책 촉구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3-31
- 등록일 2017-04-03
- 권호 91
□ 국립학술원은 향후 5~10년 내 등장할 수많은 바이오기술제품의 등장에 대응하기 위한 규제정책을 촉구하는 보고서*
발표(‘17.3.)
* Preparing for Future Products of Biotechnology
○ 환경보호청(EPA), 식품의약청(FDA), 농무부(USDA)는 향후 5~10년 후 예상되는 유망 바이오제품 파악 및 효과적 평가를
위한 역량 분석 요청
※ 미래 바이오기술 제품·규제시스템 역량향상 위원회에서 추진
1. 유망 바이오 제품 파악
○ 바이오 제품을 개방형, 제한형, 플랫폼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파악
- 개방형 : 유전자조작농작물이나 오염지역을 정화하는 미생물, 동물세포를 배양시켜 만든 육류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 관련
제품이 개발되고 있거나 이미 출시
- 제한형 : 유전자이식동물 등 연구실과 같이 제한된 환경 하에서 존재하는 제품으로 미생물이나 합성 유기체 기반의 제품이 많이
등장할 전망
- 플랫폼 : 다른 제품을 개발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DNA/RNA, 효모, 질병매개체, 복제키트, 관련 소프트웨어 등
< 개방형 바이오기술제품 개발 단계 >
분류 | 제품 상세 | 출시 | 개발중 | 초기 컨셉 |
식물 및 식물 제품 | 유전자 변형 작물 rDNA | √ |
|
|
항제초제 작물 rDNA | √ | √ |
| |
병충해에 강한 작물 rDNA | √ | √ |
| |
DRNAi 조작 작물 | √ | √√√ | √√√ | |
공기 청정 이끼 |
| √ |
| |
자체 발광 식물 |
| √ |
| |
유전자 조작 작물 | √ | √√√ | √√√ | |
CRISPR/유전자제거 작물 |
| √√√ | √√√ | |
환경정화용 잔디 |
| √ |
| |
감시 식물 |
| √ |
| |
광합성 효율이 높은 식물 |
| √ |
| |
사철개화 작물 |
|
| √ | |
질소고정 비두과 식물 |
|
| √ | |
바이오 발광 나무 |
|
| √ | |
환경보전을 위한 유전자조작작물 |
|
| √ | |
농업산업을 위한 유전자조작작물 |
|
| √ | |
동물 및 동물 제품 | 발광 제브라 피시 | √ |
|
|
불임 곤충 |
| √ |
| |
유전자조작동물(예- 뿔이 없는 소) |
| √ | √ | |
알레르기 반응이 적은 염소 우유 |
| √ |
| |
지뢰 감지 쥐 |
| √ |
| |
멸종 위기종의 보호 |
|
| √ | |
외래종 관리를 위한 유전자조작 |
|
| √ | |
해충 관리를 위한 유전자조작 |
|
| √ | |
및 미생물 제품 | 바이오센서/바이오리포터 |
| √ |
|
환경정화용 미생물 |
| √ |
| |
유전자조작 조류 |
| √√√ |
| |
질소고정 공생자 |
| √ |
| |
프로바이오틱스 |
|
| √ | |
유전자조작 미생물군 |
|
| √√√ | |
바이오 채광/바이오 침출 |
|
| √√√ | |
합성 유기체 /핵산 | 무세포 제품 |
| √ |
|
제품 추적을 위한 DNA 바코드 | √ | √ |
| |
해충 관리를 위한 RNA 기반의 스프레이 |
| √ |
| |
유전자 기록 유기체 |
|
| √ | |
생물학적/기계적 하이브리드 바이오센서 |
| √ | √ |
※ √√√: 높은 성장 잠재력 분야
< 제한형 바이오기술제품 개발 단계 >
분류 | 제품 상세 | 출시 | 개발중 | 초기컨셉 |
동물/ 동식물 /식물 제품 | 유전자 이식 연구소 동물(소형 돼지, 쥐, 개) | √ | √√√ |
|
유전자조작 양식 연어 | √ |
|
| |
동물 세포배양 제품(예- 가죽 및 고기) |
| √√√ | √√√ | |
산업용 식물 기반 폴리머 |
| √ |
| |
CRISPR 유전자 제거 온실 작물 |
| √ |
| |
미생물 및 미생물 제품 | 산업용 효소 | √ | √ | √ |
화학연료 작물 대체 바이오 기반 화학제품 | √ | √ | √ | |
가정 및 조경용 발광 미생물 | √ | √ | √ | |
효모 기반 분자 향신료 원료 | √ | √√√ | √√√ | |
합성 실크 |
| √ |
| |
박테리아 기반 항균 물질 |
| √ |
| |
발효 제품을 위한 유전자조작 세균주 |
| √√√ |
| |
기상 미생물 시스템 |
| √ |
| |
조류 기반 제품 (수산물 대체) |
| √√√ | √√√ | |
프로바이오틱스 |
|
| √ | |
침출/금속 재활용 유기체 |
|
| √ | |
합성 유기체 /핵산 | 칩 위의 장기 |
| √ |
|
비브리오 나트리겐 플랫폼 | √ | √ |
| |
유전자 기록 유기체 |
| √√√ | √√√ | |
무세포 표현 시스템 |
| √√√ | √√√ | |
생물학적/기계적 하이브리드 바이오센서 |
| √ | √ | |
삽입형 바이오센서 |
| √ | √ |
※ √√√: 높은 성장 잠재력 분야
2. 효과적 평가 분석 방법
○ 향후 10년간 등장할 바이오기술제품은 기술적으로 훨씬 복잡하고 전례를 찾아볼 수 없을 만큼 획기적 특성을 가질 전망
< 미래 바이오기술제품 특성 >
○ 연방기관은 새로운 바이오기술제품 모니터링 및 보다 복잡한 리스크 분석이 필요한 제품을 파악하고 이를 우선시하는 전략
수립이 필요
- 앞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바이오 기술 분야의 과학적 역량, 도구, 전문가, 이슈 발굴 능력 강화
- 복잡한 바이오기술제품의 생태학적 리스크와 혜택을 분석하는 시범 프로젝트 활용 확대 및 외부 전문가나 국민 참여를 동반
하는 새로운 접근법 개발
- 새로운 바이오기술제품 개발 가능성이 높은 기관에 연구 예산을 지원하는 연방기관의 규제과학 투자 확대 및 연구-규제과학
활동 연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