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과학기술 인식 국제 비교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3-31
- 등록일 2017-04-03
- 권호 91
□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은 일본과 EU 회원국 간 과학기술 의식을 비교·검토한 보고서를 발표(‘17.3.)
○ 과학기술 혁신이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사회로부터 이해와 신뢰가 조성되어야 하므로, 국민의 과학기술 이해도
파악이 중요
- 조사 목적은 관련 기초 데이터 및 지표(안)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국제비교를 위해 EU 회원국의 데이터를 활용
※ 일본은 여론조사(‘95-‘16년), 인터넷 조사(‘16년) 데이터로, EU는 ‘14년 실시된 여론조사(Special Eurobarometer)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교
○ 일본은 과학기술 관심도가 대체적으로 상위에 위치해 있고, 다양성이 커서 응답자 간 격차가 크게 나타남
- EU 국가의 경우, 경도가 높은 국가일수록 과학기술 관심도가 높게 나타남
< 과학기술 관심도 > | < 과학기술 다양성 > |
|
|
< EU 국가 과학기술 관심도 > | < EU 국가 과학기술 다양성 > |
|
|
○ 레이더 차트 분석 결과, EU 28개국 중 일본과 유사한 국가는 영국, 독일, 이탈리아, 포르투갈 상위 4개국으로 도출
※ 분석지표: 관측시점, 경도, GDP 성장률, 1인당 GDP, 100명당 인터넷 이용자수, 기대수명, 실업률의 평균값 및 편차치로 산정
※ 설문항목: 과학기술 관련 뉴스 및 화제에 대한 관심, 과학기술에 관한 정보 인지 경로, 정보제공 기회, 과학기술발전 긍정적
측면 및 부정적 측면, 진보 속도, 정보악용의 위험성 등
< 영국 > | < 독일 > |
|
|
< 이탈리아 > | < 포르투갈 > |
| |
○ 주성분 분석(PCA) 결과 경도(Lat), 인터넷 사용자수, GDP 성장률은 과학기술 국민의식에 긍정적 효과를 미침
- 기대수명이 길어지면 과학기술 이해도도 높아지는 한편, 실업률은 과학기술에 대한 관심과 무관하게 나타남
○ 이번 인식 조사를 통해 일본은 EU 회원국 중 영국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과학기술 다양성에 대한 인식이 매우 높은
편으로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