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도농간 인터넷 격차해소에 20억 달러 투자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3-31
- 등록일 2017-04-03
- 권호 91
□ 미국 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농촌과 도시 간 양극화가 지속
○ FCC의 ‘2016 Broadband Progress Report(‘16.1.29)’에 따르면, 전체 국민의 10%(3,400만 명)는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불가한
가운데, 농촌 지역에서의 서비스 가용성은 도시에 비해 크게 뒤떨어져 있는 것으로 조사
- 농촌 거주민의 39%(2,300만 명)가 접근 불가한 반면 도시 거주민은 4%에 불과
○ 양극화가 점차 뚜렷해지고 있는바, 규칙을 제정해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면서 미국 정부는 서비스가
합리적이고 적재적소에 배치될 수 있도록 주력
- 대도시 지역에서는 초고속 인터넷 접속이 일반적인 것이지만, 시골 지역 미국인의 39%는 인터넷에 적절히 연결되지 못한다고
언급하면서 미국 내의 디지털 격차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
< 고급 통신 서비스에 접근할 수 없는 미국인 >
| 인구(백만 명) | 인구 비율 |
미국(United States) | 33.982 | 10% |
-농촌 | 23.430 | 39% |
-도시 | 10.552 | 4% |
※ 자료 : FCC
□ 보다 명확한 해소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FCC는 20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계획
○ FCC는 ‘11년부터 ‘커넥트아메리카펀드(Connect America Fund)의 지원을 받아 인터넷 보급 비용이 많이 드는 농촌 지역까지
인터넷 연결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
○ 최근에는 미국의 농촌 지역에 대해 광대역 인터넷 보급을 장려하는 프로그램에 20억 달러를 투입하는 계획을 승인(2.23)
※ 지원하는 20억 달러는 광대역 인터넷 연결을 위한 펀드인 ‘커넥트 아메리카 펀드’의 일부
- 인터넷 제공업체는 20개 주 지역 중 광대역 인터넷과 음성서비스가 지원되지 않는 곳에 서비스를 확장하는 이번 계획에 대해
‘역경매’ 방식으로 입찰 경쟁할 예정
※ ‘15년에도 시골 지역에 인터넷을 보급하기 위해 인터넷 제공업체에 90억 달러를 지원
○ 한편 최근 OECD는 회원국과 가입 신청국 등 36개국을 대상으로 ‘16.2분기 초고속인터넷 보급률 조사 결과를 발표(2.2)
※ OECD 조사에는 기가인터넷 뿐 아니라 DSL, 케이블 방식 등이 모두 초고속인터넷에 포함
※ (유선) 전송 속도가 256kbps 이상인 디지털가입자회선(DSL), 케이블모뎀, 광케이블 등 유선 초고속인터넷 회선 수
※ (무선) 모바일 초고속인터넷 보급률. 데이터·음성 결합 서비스(인당 0.957 회선)와 데이터 전용 서비스(인당 0.508 회선)를
합한 결과
- 미국은 유선에서 15위, 무선에서 5위를 기록. 특히 유선서비스에서 타 주요국(영국 7위, 독일 8위, 캐나다 11위) 대비 하위권에
그친 것으로 조사
< OECD의 ‘초고속인터넷 통계 업데이트’ >
랭킹(유선) | 국가 | 회선 | 랭킹(무선) | 국가 | 보급률 |
1 | 스위스 | 51.4 | 1 | 일본 | 146.4% |
2 | 덴마크 | 42.8 | 2 | 핀란드 | 139.4% |
3 | 네덜란드 | 41.8 | 3 | 스웨덴 | 124.7% |
4 | 프랑스 | 40.9 | 4 | 덴마크 | 123.9% |
5 | 한국 | 40.1 | 5 | 미국 | 122.3% |
15 | 미국 | 32.5 | 8 | 한국 | 109.0% |
※ 자료 : 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