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정보 자동화 기술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4-14
- 등록일 2017-04-17
- 권호 92
□ 국립학술원은 정보기술과 자동화 진전이 노동시장에 미칠 영향과 정부의 대처방안*을 발표(‘17.3.)
*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U.S. Workforce: Where Are We and Where Do We Go from Here?
○ 정보기술과 자동화 진전은 이미 생산방식의 많은 측면을 변화시켜 왔고, 향후 일자리를 대체하거나 새로운 일자리 창출 등 노동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전망
< 전문가 선정 혁신을 견인할 기술 및 실현 시기 >
첨단 기술 | 응답률 | 실현 시기 |
모바일 인터넷 및 클라우드 기술 | 34% | 2016-2017년 |
연산 능력 및 빅데이터의 진전 | 26% | 2015-2017년 |
새로운 에너지 공급 및 기술 | 22% | 2015-2017년 |
사물인터넷 | 14% | 2015-2017년 |
크라우드 소싱, 공유 경제, P2P 플랫폼 | 12% | 이미 효과 발생 중 |
첨단 로보틱스 및 자율주행차 | 9% | 2018-2020년 |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 7% | 2018-2020년 |
첨단 제조 및 3D 프린팅 | 6% | 2015-2017년 |
첨단 소재, 바이오기술, 유전자학 | 6% | 2018-2020년 |
- 특히 첨단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한 공장 자동화는 자동차, 전자 등 산업에서 활발하게 추진 중
< 산업별 로봇 활용 비중 (%) >
- 자율주행차량이 기존 택시운전사나 장거리 트럭운전사를 대체하고, 음성인식 및 이미지 처리기기가 병리학자, 방사선 전문위를
대체할 전망
○ 정보기술과 자동화 진전은 기존 업무의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소득 및 부의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
- 정보기술 개발과 적용 여부에 따라 기업 간 생산성 격차 점차 확대
- 2000년대 이후 정보 기술 발전에 따른 생산성 성장이 고용창출과 소득 증대로 연계되지 못해 소득과 부의 격차를 초래
○ 정보기술과 자동화는 개인의 교육과 훈련, 기업 조직형태, 디지털 기술의 이전 등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를 초래할 전망
- 온디맨드 경제, 긱(gig) 경제라는 비전통적 고용 형태 확산 및 화상회의, 데이터기반 의사결정, 1인 기업 등 새로운 업무 형태
등장
- 인공지능, 머신러닝, 로보틱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업무의 자동화율 확대
- 이에 따라, 기업전략, 사회조직, 경제 정책 등은 기술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결정할 전망
□ 결론적으로, 정책 입안자와 연구자는 정보통신기술과 자동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의 지속적인 파악을 권고
- 지속적이고 범학제적인 연구와 노동시장 및 기술발전 경로를 파악하여 공공정책을 개발하고 교육전략을 수립
- 국립과학재단(NSF)에 기술선택에 따른 노동시장 영향력, 거시·미시연구간 상호 피드백, 새로운 데이터 및 방법론 등을 활용한
연구 프로그램 수행 등을 권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