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4차 산업혁명 중점 추진 과제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4-14
- 등록일 2017-04-17
- 권호 92
□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제조산업분과위원회는 제조업을 둘러싼 현황 및 최근 중요 정책과제에 관한 논의
내용을 발표(‘17.3.)
※ 일본의 제조업은 GDP와 취업인구에서 약 20%를 차지하는 중요한 기간 산업
○ 4차 산업혁명의 급속한 진전에 따라 제조업 관련 자율주행, 로봇 드론, 스마트 제조업, 모델기반개발(MBD), 우주 분야의
추진 과제 검토
① 자율주행
○ 세계 최첨단을 목표로 자율주행사업검토회에서 미래상을 구축하고, 기술개발을 위한 협력분야 선정
- 지도, 통신, 사회수용성, 인간공학, 기능안전, 보안, 인식기술, 판단기술
< 자율주행 주요 과제 >
협력분야 | 추진방침 |
지도 | ‘18년경까지 필요한 지도의 비즈니스 모델 검토 가속화, 데이터 플랫폼으로서의 가능성도 고려 |
통신 | ‘18년경까지 필요한 용도 및 사양 명확화, ‘18년 이후 활용도 고려. |
사회 수용성 | 자율주행의 효용 및 기능・한계 등에 관한 국민의 이해 촉진, 사고 시 책임 및 윤리에 관한 사회적 합의 형성 |
인간공학 | 운전자 모니터링 및 HMI(Human-Machine Interface), Second Task(운전 이외의 일)의 허용범위 검토에 필요한 기초연구와 성과의 표준화 |
기능안전 | 고장·성능한계 시 오작동 등 안전대책 개발프로세스의 국제표준화 대응 |
보안 | 평가환경(테스트베드)정비, 개발프로세스의 국제표준화에 대한 대응, 일본판 Auto-ISAC(정보공유 분석센터)정비 |
인식기술 | 주행영상데이터베이스 정비, 혁신적 인식기술 개발, 성능기준에 관한 시험방식 검토 |
판단기술 | 일반 운전자의 운전행동 및 사고 관련 데이터베이스 정비, 기계학습 알고리즘 평가방법 검토 |
② 로봇·드론
○ (로봇 신전략(‘15.2.)) ‘15년부터 5년간 로봇혁명 집중 실행기간을 두고 정책 추진
- 로봇혁명이니셔티브협의회(RRI) 설치(현재 469명 회원)
- 민관 총액 1,000억 엔을 로봇프로젝트에 투자, 로봇 시장규모를 현재 연간 6,500억 엔에서 2조 4,000억 엔까지 확대
※ 로봇 초기도입 비용을 ‘20년까지 20% 절감, 로봇 도입을 지원하는 인재 3만 명으로 2배 증가((‘16.2.), 아베총리 미래투자회의)
○ 드론 활용을 위한 민관협의회에서 소형무인기 활용 및 기술개발 로드맵(‘16.4.), 소형 무인기의 안전 확보를 위한 제도 설계
방향성(‘16.7.) 작성
③ 스마트 제조업
○ IoT 등 활용 관련 선진사례를 가시화하여 선진사례 창출 및 활용 환경 정비
○ 디지털 장비 구체적 활용사례 가시화(제조백서, 선진사례집 작성)
○ 데이터 활용 추진을 위한 기반 정비(표준화, 사이버보안, 데이터 활용도구 재정비, 규제 재검토 등)
○ 스마트 제조지원단 등 디지털 제조분야 인재 육성
④ 모델기반개발(MBD)*
* 자동차 설계 시 종이 대신 시뮬레이션을 통해 움직이는 자동화를 재현하여 개발, 검증하는 방법
○ 시제품 없이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개발 추진 가속화
○ 특정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산업계가 요구하는 수준으로 추진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모델 활용 필요
⑤ 우주
○ 우주 관련 다양한 데이터의 질적·양적 향상
※ 세계 우주산업 규모는 약 20조 엔으로 그중 일본은 1조 엔 규모를 차지
○ 지표 및 항공으로부터 데이터 보완 및 우주 데이터를 빅데이터로 활용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발전
○ 어플리케이션 산업 발전을 지원하고, 위성서비스, 로켓 발사 내실화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