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IoT 국제 경쟁력 순위 발표…미·중·일·한국 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4-14
- 등록일 2017-04-17
- 권호 92
□ 일본 정부, 사물인터넷(IoT) 역량을 가늠하기 위한 새로운 지표 책정(3.10)
○ 총무성은 IoT 사회의 도래에 대응해 ICT 전반의 역량을 측정하는 기존 지표를 재검토하고 새로운 항목을 추가하여 ‘IoT 국제
경쟁력 지표’를 책정
※ 총무성은 ‘08년부터 27년 간 ‘ICT 국제 경쟁력 지표’를 매년 공표
- 전반적인 ICT 국제 경쟁력 지표는 IoT 사회에 대응하기는 부족하다고 판단, ①스마트시티 ②헬스케어 ③스마트공장 ④커넥티드
카 등과 관련된 평가 항목을 새롭게 도입
- WEF의 ICT 국제 경쟁력 순위, ITU의 ICT개발 지수 등을 참고해 상위 국가의 IoT 기업(약 1,500개) 경쟁력을 점수화하여 종합
순위 산출
※ 10개국: 일본을 비롯해 미국·독일·중국·한국·대만·프랑스·스웨덴·핀란드·네덜란드
- 각국 기업의 IoT 분야 세계 시장점유율, 연구개발 능력, 기업의 M&A 등 향후 경쟁력으로 이어질 요소에 가중치 부여
< 총무성 IoT 국제 경쟁력 지표 >
주) 붉은 색 항목이 IoT 역량 평가를 위해 새롭게 업데이트된 부문
※ 자료 : 총무성, ‘17.3.10
□ 미국이 1위를 차지한 가운데 중국·일본·한국 순으로 집계
○ 종합점수 61점으로 1위를 차지한 미국은 스마트시티(70점), IoT 표준화(71점) 부문에서 선두를 차지하며 전체 순위 1위 기록
○ 헬스케어(61점)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낸 중국은 2위, 스마트공장(62점)에서 우수한 점수획득한 일본은 3위 차지
○ 우리나라는 연구자 수(64점) 부문 1위, 스마트시티(57점) 2위, IoT 표준화(51점) 부문에서 3위에 오르며 종합순위 4위에 랭크
○ 일본 정부는 향후 IoT 산업 발전 현황 등을 충분히 반영하며 지속적인 개선과 검토를 병행하여 매년 순위를 업데이트할 계획
< IoT 경쟁력 순위 >
종합 순위 (점수) 세부항목 순위 | | | | | |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단말 | D3 스마트시티 | 1 | 5 | 3 | 2 | 4 | 6 | 7 | 8 | 9 | 9 |
D4 헬스케어 | 3 | 1 | 4 | 8 | 2 | 7 | 6 | 9 | 10 | 5 | |
D5 스마트공장 | 5 | 2 | 1 | 6 | 3 | 4 | 7 | 8 | 10 | 8 | |
D6 커넥티드카 | 4 | 2 | 3 | 6 | 6 | 5 | 1 | 6 | 6 | 6 | |
연구 | E2 IoT 연구자 수 | 2 | 5 | 4 | 1 | 9 | 6 | 8 | 7 | 3 | 10 |
금융/ | F2 IoT 부문 | 3 | 7 | 6 | 5 | 9 | 4 | 10 | 2 | 1 | 8 |
표준화 | G 표준화 참여 | 1 | 2 | 4 | 3 | 6 | 5 | 8 | 9 | 7 | 10 |
주) IoT 종합 점수가 동일한 경우 전체 ICT 경쟁력 점수와 합산하여 우위 산출
※ 자료 : 총무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