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2017년 양회 4차 산업혁명 일환으로 5G‧AI에 주목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KOTRA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4-14
  • 등록일 2017-04-17
  • 권호 92

중국의 정치‧경제 등 금년도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며 ‘17년 양회(兩會) 폐막


○ 지난 3.5~3.15일간 중국정부의 거시정책 목표 및 정치‧경제‧외교‧사회‧안보 등 전반에 걸친 국정운영 방향을 확정하는 양회 진행

 
 - 대내적으로는 시진핑 1기 집권을 마무리하고 2기 집권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이자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경제, 정치의 불확실성이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안정”이라는 주요 기조를 유지


 - 또한 올해는 13차 5개년 규획의 2차 연도로 13.5규획을 본격 실행하는 해이기 때문에 이를 위한 주요 경제정책 및 대규모

   프로젝트에 대한 윤곽이 제시


특히 올해는 4차 산업혁명의 일환으로 5G와 인공지능(AI)이 주요 키워드로 부상


○ 8대 유망산업으로 △인공지능 △5G △신소재 △환경보호산업 △우주항공산업 △집적회로 △제조업 △공유경제 등이 언급


○ (5G) ‘13년부터 중국 핵심 프로젝트의 하나로 공업정보화부(공신부),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과학기술부 등 부처가

    공동으로 ‘IMT-2020(5G)’ 추진


 - ‘35년 중국의 5G 연계산업 시장 규모는 9,840억 달러를 기록, 세계 시장의(3조 5,000억 달러) 약 30%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할

    전망. 또한 가입자 수도 빠르게 증가해 5년 내 미국을 잇는 5G 가입자 보유대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상(IHS)


 - ZTE(中兴通讯)·차이나모바일(中国移动) 등 중국 업체 또한 퀄컴과 합작해 하반기에 중국에서 5G NR(New Radio) 표준에

   기반한 관련 테스트를 진행하기로 했다고 발표(2.22)했으며, 이는 5G의 상용화 시간을 더욱 앞당길 것으로 평가


○ (AI) 정부에서 인터넷‧VR 이후 차세대 혁신분야로서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혁신 및 창업 등 분야와 맞물려 앞으로 중국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가능성이 농후


 - 안신증권(安信证券)은 ‘16년 말 중국의 AI 시장규모는 300억 위안에 불과하나 ‘18년에는 380억 위안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 특히

    ‘17년에는 금융·의료·교육 등 각종 산업에 융화될 것으로 예측(KOTRA)


 - 샤오미 CEO 레이쥔(雷军)은 AI가 미래 10년 기술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기술로 예상되는 바 AI 산‧학‧연 혁신공동체를 설립하고

   인공지능의 표준과 규범의 제정을 촉구


 - 정협 위원으로 참가한 바이두 리옌훙 회장 또한 AI와 관련해 △ AI 얼굴식별 기술을 활용한 실종 아동 찾기와 전국 미아 데이터

   베이스 구축 방안 △ 교통체증 해결을 위해 AI 영상인식 및 영상분할 기술을 활용, 시간별로 신호등을 제어하는 방안 등을 제시


 -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AI 기술을 활용, 산업데이터를 공유하는 등 AI와 다른 산업 기업 간 합작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


○ 한편 그 외 ICT 부문에서는 텐센트의 마화텅(馬化騰) 회장이 전인대 대표 자격으로 양회에 참석해 △디지털 경제 △인터넷 보안

    관련 안건을 제시


- (디지털 경제) 인터넷과 전통산업의 결합을 의미하는 인터넷 플러스(+) 정책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디지털 경제 발전을 통한

   네트워크 강국 건설 △디지털콘텐츠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통한 글로벌 문화 산업 주도권 확보 등을 제안


- (인터넷 보안) 최근 중국 내 인터넷 사기범죄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개인정보 보안과 미성년자의 안전한 인터넷 이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 등의 필요성을 제언


  ※ ‘16년에는 공유경제, 인터넷 의료, 디지털콘텐츠 산업, 인터넷 생태계 보안, 인터넷 플러스 실현방안 등의 안건을 제시


인공지능과 5G는 4차 산업혁명을 대표하는 핵심 키워드


○ 인공지능과 5G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로 향후 이 분야에서의 경쟁력 확보가 국가 경쟁력에 큰 영향


○ 이런 가운데 인공지능과 금융·의료·교육 등 각종 산업의 융화 및 5G 표준제정과 조기 상용화에 매진하고 있는 중국 정부 및

    기업들의 행보에 주목


○ 우리나라도 4차 산업혁명의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사업 추진, ‘5G 발전전략’ 수립(16.12.) 등

    인공지능·5G 기술에 적극 대응하고 있는 만큼, 중국을 포함한 주요 경쟁국 동향에 대한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차별적 경쟁우위

    창출을 위한 행보를 이어갈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