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하이테크 전략 6대 우선과제 현황 소개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17-04-28
- 등록일 2017-05-02
- 권호 93
□ 독일 연방교육연구부(BMBF)는 독일의 R&D 현황 및 하이테크 전략 내 6대 우선과제 현황 소개(‘17.3.)
【개요】
○ 독일은 ‘15년 R&D 투자액은 624억 유로(75조원)이며, 전년대비 10% 증가
- R&D 투자비중 3%로 EU 28개국 평균 2.03%에 보다 높은 수준임
※ EU R&D 투자비중: 스웨덴(1위), 오스트리아(2위), 덴마크(3위), 독일(4위)
○ 100만 명당 특허 출원 수는 372개로 EU 평균 154개, 미국 216개보다 높음
○ 연구개발 기반 상품수출은 11.8%로 중국(15.8%), 미국(12.6%)순 임
【6대 우선과제】
① 디지털 경제 및 사회
○ 인더스트리 4.0과 산업용 스마트 서비스 분야
※ 독일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 및 해외 공장을 독일 내로 환원
- 인더스트리 4.0 플랫폼 구축을 통해 160개 기관의 300개 주요업체 선정
○ 디지털 중소기업 분야
- PAiCE 프로그램을 통해 네트워크 기반 생산기술 개발, 3D 프린팅을 활용한 부가가치 생산, 14개 과학기업 프로젝트 컨소시엄 구성
○ 스마트 서비스
- 최근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서비스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서비스 창출
○ 디지털 농업
- 지속가능 농업을 위한 자동화, 센서, 로봇활용 기술, 빅데이터 활용
② 지속가능한 경제 및 에너지 체계
○ 에너지 연구
- 에너지효율프로그램(NAPE) 네트워크에 2,500여명 참여, 연방정부 ‘코페르니쿠스’ 프로젝트에 10년마다 에너지 전환을 위한 해결책 제공
○ 바이오경제
- 바이오 기반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10년에 국가 바이오경제 전략 2030 채택
- 연방 정부는 지속가능한 혁신에 대한 플랫폼을 창출
< 2016년 독일 전력 생산의 에너지원 비중 (%) >
③ 혁신적 업무환경
○ 새로운 형태의 업무 조직과 서비스, 직무능력의 변화, 부가가치 중심의 프로세스, 디지털화 등의 변화
- 가족 친화적인 업무 환경, 즉 유연한 근로 시간 및 근무 장소 디자인 등 추진
④ 건강한 생활
○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수요 증가에 따라 관련 연방정부의 제품 및 서비스 연구 개발 증가
⑤ 지능형 교통체계
○ 이동 수요 및 교통량 증가에 대응하는 안전하고, 효율적 교통체계 구축 필요
- ‘30년까지 화물 운송 및 승객 수송이 각각 38% 증가 전망
⑥ 시민의 안전
○ 포괄적 솔루션 공급을 위한 시민안전연구 프로그램 추진
- 일상 생활 내 높은 수준의 기술 보안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