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공학연구센터 프로그램 발전 방안 마련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7-05-26
- 등록일 2017-05-29
- 권호 95
□ 국립학술원은 공학연구센터(ERC)를 융복합공학연구센터(CERC*)로 새롭게 발전하는 방안**을 제시(‘17.5.)
* Convergent Engineering Research Center
** A New Vision for Center-Based Engineering Research
○ 공학연구센터 프로그램은 대학 내 범학제적 연구센터를 기반으로 산학연 파트너십 촉진 및 학생 훈련 활동을 지원
- 국립과학재단(NSF)은 ‘85년부터 현재까지 총 67개의 공학연구센터*를 설치하였으며, 총 12,000명 이상의 공학도를 배출
* 최대 10년 동안 매년 300만∼500만 달러의 예산을 지원 받을 수 있으며, 이후에도 기업·대학·정부기관을 통해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
○ 기존 공학연구센터는 주로 유망기술의 초기 단계에 초점을 맞춰, 사회적·기술적 수요가 높은 중요한 과제 해결에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평가
○ 이러한 문제점을 대응하기 위해 보다 혁신적인 융복합공학연구센터(CERC)로의 도약이 필요
- 학문 융복합을 통해 그랜드 챌린지를 IT, AI, VR 등 첨단 기술에 적용하고, 가치 창출을 위한 혁신 촉진
< 공학연구센터와 융복합공학연구센터와의 차이점 >
공학연구센터 | 융복합공학연구센터(CERC) |
기술혁신에 초점을 둔 다학제적 연구 | 다양한 학문의 기술적 수렴을 활용한 초학문적 연구 |
미국 혁신 생태계 향상 및 경제적 가치 창출 | 경제적 가치 창출을 수반하는 사회적 가치를 극대화 |
연구자와 학생이 정규 회의와 토론을 통해 협력 | 대면회의, 가상 기술 플랫폼, 협력 연구 우수 사례를 활용한 연구 협력 |
다양한 학과 교수와의 교류를 통한 경험 축적 | 융복합 공학 연구의 우수사례를 통한 경험 축적 |
산출물을 바탕으로 성과측정 | 산출물과 효과를 바탕으로 성과 측정 |
10년 후 지원은 소멸되나, 다른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획기적인 성과를 거둘 경우, 10년 이후에도 다시 신청 가능 |
□ 융복합공학연구센터(CERC) 운영을 위한 3가지 모델 제시
(1) 그랜드 챌린지 기반 모델
- 범학제적이고 사회적 영향이 큰 이슈에 대한 공학적 솔루션 제공을 목표로하는 챌린지 개최
- 주제 범위가 넓어 단일 연구센터보다 다수의 융·복합공학연구센터 및 국내외 연구소가 참여하는 연대 방식으로 추진
(2) 현상금 모델
- 미국 혁신 생태계의 주요 촉매제인 상금과 경쟁의 적절한 활용으로 공학적 솔루션 개발에 성공한 팀에 대한 상금 제공
- 벤처캐피탈 리스트와 같은 제3자 파트너를 통한 상금 확보(예: 테슬라 창업주 멜론 머스크의 Hyperloop Pod Design
Competition)
(3) 연방·주·지역 발전 모델
- 해수면 상승과 이상기후 대처 방안 연구 등 지역 연구 커뮤니티 간 공동 주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자금 지원 모델 개발
- 국립과학재단의 예산 지원 및 전문가와 해당 부문 기술역량을 바탕으로 한 성과 수준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