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무인 계산대 확산을 위한 정부 지원 강화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5-26
- 등록일 2017-05-29
- 권호 95
□ 경제산업성은 편의점 업계와 함께 ‘편의점 전자태크 1,000억 개 보급’ 선언
○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일손 부족과 노동비용 상승에 직면한 일본 정부는 민간업체와 협력해 노동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자동화‧
첨단화에 박차
○ 특히 소매업의 노동력 부족이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주요 편의점 5개사(세븐일레븐‧패밀리마트‧미니스탑‧로손‧뉴데이즈)는
‘25년까지 일본 내 모든 점포에 무인 계산대 도입을 결정
○ 경제산업성은 이 같은 방침을 담은 ‘편의점 전자태그 1,000억 개 선언’을 5개 편의점과 공동으로 발표(4.18)
- 편의점에서 다루는 모든 제품(약 1,000억 개)에 전자(IC)태그를 부착해 무인 계산을 현실화하는 것이 주요 골자
- 경제산업성‧편의점은 ICT기업‧식품업체‧물류업체 등으로 구성된 협의회를 연내 출범시키고 ‘18년부터 수도권 등 도심지역
점포에 우선 배치해 나갈 계획
○ 이미 대형마트 등에서 직접 바코드를 찍으며 계산하는 셀프 계산대 도입은 확산되고 있으나 물건이 담긴 바구니 등을 한꺼번에
자동으로 계산하는 시스템은 일본이 처음
- 기존 바코드와 비교하면 ①각각의 물품(個品)별 관리 가능 ②복수의 전자태그를 일괄적으로 판독해 업무 효율화 ③상품 데이터
갱신 가능 등이 강점
< 편의점 전자태그 1,000억 개 선언 주요 내용 >
공동선언 | •‘25년까지 세븐일레븐‧패밀리마트‧로손‧미니스톱‧뉴데이즈는 모든 판매제품(약 1,000억 개 추산)에 전자태그를 부착하고 상품관리 실현 |
실현조건 | •따뜻한 금속 용기, 냉동‧냉장 상품 등 특수 제품에 부착하는 전자태그 단가 인하 |
실증테스트 | •모든 제품의 품질‧이력관리 등을 실현 |
※ 자료 : 경제산업성, ‘17.4.18
○ 한편 전자태그 인식 계산대 가격과 생산비용이 도입의 걸림돌로 언급되면서 기술개발 업체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안도
고려 중
※ 전자태그를 인식하는 무인 계산대 가격은 한 대당 100∼200만 엔(약 2,080만 원) 예상
○ 일본 정부는 향후 계열사나 약국 등으로 확산을 추진할 계획이며 주요 편의점 5개사는 향후 직원이 없는 무인점포 설치까지
추진하겠다는 의사 표명
□ 경제산업성은 RFID를 활용한 ‘스마트 정보 플랫폼’ 비전도 제시
○ 생산‧유통‧판매하는 상품 하나하나에 전자태그를 붙여 ‘제품 공급망(Supply Chain)의 IoT’를 실현한다는 구상
- 기존 바코드 시스템과 달리 전자태그를 부착하면 점원이 바코드 기기에 제품을 가까이 가져가 처리하는 수작업(재고·이력·계산
등)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
- 또한 보안 게이트를 마련해 도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유통기한에 따라 자동으로 가격을 변경해 식품 손실을 절감하는 등
다양한 효과 기대
< RFID를 도입해 IoT를 구현한 소매점 모습 >
|
|
|
|
(가) 무인계산대 | (나) 스마트선반 선반자체가 RFID 리더기 | (다) 보안 게이트 | (라) 유통기한에 따라 가격표지 자동화 |
※ 자료 : 경제산업성, ‘17.4.
□ 첨단기술과 접목한 유통업계, 혁신과 위협 공존…선제적 준비와 고민 필요
○ 고령화‧저출산 사회로 진입하며 노동력 부족, 생산성 제고 등이 사회 현안으로 대두된 세계 각국은 로봇‧인공지능과 같은 첨단
기술을 적용한 무인점포‧계산대 등을 인력난 해소를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주목
○ 우리나라도 바코드를 이용한 셀프 계산대, 스마트쇼퍼 등 무인 로봇혁명 사회로 진입을 가속화하고 있는 바,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개발‧투자확대 및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