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스마트폰 시장 선점을 위한 한․중․미 경쟁 원문보기 1

  • 국가 인도
  • 생성기관 이데일리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5-26
  • 등록일 2017-05-29
  • 권호 95

고성장세를 보이는 인도시장 점유율 확대를 위해 스마트폰 제조사 간 경쟁 치열


○ 인도는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나라이자 ‘18년에는 미국보다 더 큰 규모로 성장하여 향후 세계 2위

    스마트폰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SA)


 - △구매력을 갖춘 중산층 확대 △대형 이통사·로컬업체의 적극적인 마케팅 효과 △소매점 및 온라인 판매 네트워크 확대 등이

    시장 성장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


○ 현지 업체 틈에서 꾸준히 선두를 지켜온 삼성전자가 1위 굳히기에 나선 가운데, 가성비 높은 제품을 앞세운 샤오미, 현지에

    공장을 설립하는 애플 등 기업간 경쟁 격화

 
(삼성전자, 프리미엄 제품으로 공략) 인도 뉴델리에서 ‘갤럭시S8’과 ‘갤럭시S8 플러스(+)’ 미디어 행사를 열고 사전 예약

    판매를 진행(4.20)


 -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분기별 점유율 1위를 유지해왔으나, ‘16년 하반기 갤럭시노트7이 단종되면서 450달러(51만 원) 이상

    프리미엄 스마트폰 분야에서 ‘16.4분기 점유율이 35%로 하락, 애플(62%)이 1위를 차지(카운터포인트리서치)


 - 인도에서 판매되는 갤럭시S8 시리즈는 모두 인도 내 공장에서 만들어질 계획으로, 이는 인도를 위해 생산한다는 삼성전자 인도

    법인의 약속을 지키기 위함으로 풀이


(샤오미, 가성비 높은 제품으로 선호도 유지) 고사양을 갖춘 반면 낮은 금액인 프리미엄 ‘미(Mi)6’를 갤럭시S8 시리즈

    공개와 같은 날 베이징에서 공개(4.20)


 - 미6는 갤럭시S8과 비슷한 성능을 보유한 반면 2,499∼2,999위안(41만4000∼49만6000원)으로 갤럭시S8 시리즈보다 훨씬 저렴


 - 중국에서 미6를 출시하고(4.28) 조만간 인도에서도 미6를 시판할 것으로 전망, 갤럭시S8과 미6는 인도 시장에서 경쟁 제품으로

    맞붙을 가능성이 농후


(애플, 현지생산으로 가격 경쟁력 강화) 아이폰 OEM 생산업체 중 하나인 위스트론의 인도 공장에서 5월부터 시험 제조에

    돌입할 예정


 - 인도 주 정부는 애플이 부품 수입에 대한 관세 면제 등 현지 생산에 따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논의를 진행. 특히 부품업체까지

    방갈루루에 데려와 수출기지로 삼을 것을 건의


 - 현지에 아이폰 공장을 세우는 이유는 상대적으로 낮은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방편으로 풀이. 공장에서는 최신 모델인

    아이폰7이 아닌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낮은 아이폰6와 6S, 아이폰 SE를 우선 생산할 예정


□ 인도 스마트폰 업체는 중국 업체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에 관세 부과를 요청


○ 샤오미·오포·비보 등의 ‘15년 5%의 점유율에 불과했으나 ‘16년 말에는 27%로 중국 업체 성장


 - 3사 외에도 화웨이·러에코·원플러스 등 다른 중국 업체도 인도 시장 공략을 준비하고 있어 중국 업체의 점유율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이에 인도 스마트폰 업계는 자국 시장에 빠르게 잠식하고 있는 중국산 스마트폰의 공세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자국 산업 보호

    조치를 요구(4.16)


 - 인도 스마트폰 업계 2위(매출기준)인 인텍스테크놀로지는 중국 스마트폰에도 반덤핑 관세를 매겨야 한다고 주장


 - 인도 최대 스마트폰 제조업체인 마이크로맥스도 인도 정부가 중국만큼 보조금을 지불할 수 없다면 수입 스마트폰과 부품에

    매기는 부담금이라도 증가시켜야 한다고 지적


차별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장기적인 시장 공략 전략 모색


○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보급이 점점 늘어남에 따라 시장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지만 아직 신흥국을 중심으로 수요가 유지

    되고 있으며 신흥 시장에서의 경쟁은 앞으로도 심화될 것으로 전망


○ 특히 인도는 인구, 스마트폰 보급률, 소득수준, 시장 성숙도 등을 고려할 때 매력적인 시장으로 평가


 - 시장 특성을 고려한 전략이 필수적이며, 스마트폰 제품뿐 아니라 인프라 장비공급, 통신망 구축, 최적화 서비스 등 지원을 통해

   인도 통신 산업 전반에 대한 영향력 제고 방안을 모색할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