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에너지 구조 변화 및 관련 법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6-23
- 등록일 2017-06-26
- 권호 97
□ 의회조사국은 미국 에너지 구조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에너지 관련 법안을 발표*(‘17.5.)
* 21st Century U.S. Energy
○ 최근 에너지 기술 발전과 셰일 자원 개발로 미국의 에너지 소비 및 생산구조는 빠르게 변화하는 추세
- 석탄의 비중은 ‘16년 30%로 크게 감소한 반면, 천연가스와 재생에너지 비중은 각각 16%→ 34%, 9%→ 15%의 비중이 크게
증가
< 미국 에너지 소비 및 생산, 2000-2016년 (단위: 1,000조 Btu) >
1. 석유 : 자급 구조로 변화
○ ‘07년 이후 해외 석유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빠르게 감소한 반면, 미국 생산량의 25%를 해외로 수출함에 따라 석유 해외 무역이
증가하는 추세
2. 천연가스 : 에너지 내 비중 확대
○ 주로 전력생산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천연가스는 수압파쇄법 및 수평시추기법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00~‘16년 사이
소비량이 17% 증가
- 셰일가스를 보다 많이 공급할 수 있게 되면서 ‘00~‘16년 사이 천연가스 생산량이 38% 증가하였으며, 천연가스망, LNG선 등을
통해 해외로의 수출 증가
3. 석탄 : 생산량과 소비량 감소
○ 세계에서 가장 많은 석탄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은 ‘08년 최고치를 기록한 후, 석탄소비, 생산, 수출량이 빠르게 감소하는 추세
- 최근, 트럼프 정부의 석탄 산업 지원정책에 힘입어 다소 석탄 에너지 생산 및 소비 비중이 회복할 전망
4. 원자력 : 일부 폐쇄 방안 고려
○ 현재 미국 내 총 99기의 원자로가 60개 원자력 발전소에서 가동 중에 있으며 ‘16년에 ‘96년 이후 처음으로 원자력 발전소 신설이
결정
- 뛰어난 생산성에도 불구하고 일부 원자력발전소는 가격 하락과 정체된 수요로 인해 폐쇄되거나 20년 사용주기 이후 폐쇄하는
방안을 고려
5. 재생에너지 : 에너지 구조로의 편입
○ ‘70년대 중반부터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을 해 온 미국은 ‘00년~‘16년 사이 에너지 소비가 97% 증가하였고, 주요 에너지 비중이
5.4%에서 10.4%로 증가
- 특히, 발전 부문에서 적극적인 재생에너지 활용이 크게 기여
< 분야 및 에너지원 별 재생에너지 소비량 (단위: 1조 Btu) >
| 주거 | 상업 | 산업 | 교통 | 발전 | 총합 |
수력 | 0 | 1 | 12 | 0 | 2,465 | 2,478 |
지열 | 40 | 20 | 4 | 0 | 162 | 226 |
태양광 | 161 | 72 | 17 | 0 | 337 | 587 |
풍력 | 0 | 1 | 1 | 0 | 2,109 | 2,111 |
바이오매스 | 373 | 157 | 2,283 | 1,434 | 509 | 4,756 |
총합 | 574 | 251 | 2,317 | 1,434 | 5,582 | 10,158 |
□ 미국은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 저렴한 가격, 환경 보호의 목표로 에너지 효율성 개선 및 국내 에너지 생산 촉진
활동을 지원하는 법제 정비
○ ‘05년 에너지정책법을 제정하여 모든 부문의 에너지 정책과 관련 법제 정비
○ ‘07년 제정된 에너지독립및안보법은 ‘20년까지 갤런 당 35마일 연비 달성, ‘22년까지 교통부문 360억 갤런 바이오연료 사용 등
에너지 효율성 개선 목표
○ 114대 미 의회에서는 에너지정책및현대화법, 북미에너지안보및인프라법이 통과되어 에너지 효율성 향상, 전력 그리드망
개선, 천연자원 제공 등 이슈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