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UAE 두바이, 첨단 ICT 활용으로 스마트 도시 변모 가속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한국경제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6-23
  • 등록일 2017-06-26
  • 권호 97

□ 두바이, 정부의 전폭적 지원에 힘입어 산업 재편 박차


○ ‘20년 두바이 세계 엑스포를 앞두고 지속가능한 경제성장과 국가 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산업 지원정책과 프로젝트가

    진행


 - 두바이는 전통적으로 ‘아라비아 반도의 베니스’로 불리는 중계무역 도시로 아시아와 아프리카로 진출하려는 유럽국가의 전진

    기지 역할


 - 석유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나 정책적 지원, 대규모 투자를 통해 물류·항공·관광·ICT 인프라를 갖춘 첨단도시로 진화


 - 특히 외국기업과 협업을 통해 최첨단 신기술 실증테스트를 선도적으로 유치하면서 첨단 미래 도시로의 이행을 충실히 준비


□ 최근 최첨단 ICT를 활용한 미래 도시 실험장으로 주목


○ 자율주행자동차·드론 등 미래교통혁신을 불러올 다양한 신제품 실증 테스트 뿐 아니라 로봇 경찰관까지 도입하며 글로벌

    신기술의 각축장으로 변신


○ (로봇 경찰관) ‘30년까지 경찰력의 25%를 로봇으로 대체하며 세계 최초로 인간 없는 로봇 경찰서 도입을 목표로 밝힌 가운데

     실제로 로봇 경찰관을 도심에 배치(5.24)


 - 두바이 도심에 투입한 로봇 경찰관은 스페인 기업 PAL로보틱스가 제작한 인간형 로봇 ‘림(REEM)’으로 8시간 움직일 수 있는

    내장 배터리 탑재하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태블릿으로 원격 조작 가능


 - 첫 번째 단계로 도심에 배치된 로봇 경찰관은 길찾기, 관광 등 안내가 주요 임무이며 ‘18년에 투입하는 두 번째 모델은 범죄

   정보를 수집하는 순찰에 주력할 방침


 - 영어·아랍어를 포함해 러시아·중국어·프랑스어 등 9개국 이상 언어를 이해할 수 있으며 구글·IBM의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얼굴

   식별, 범죄 심리상태 판독에도 활용할 전망


○ (자율주행 전기차) 올 초 두바이 도로교통청(RTA)은 자율주행전기차 제조사인 테슬라 자동차 200대 도입을 결정(‘17.2)


 - 테슬라는 오는 9월까지 두바이에 걸프지역 총괄본부를 설립하고 ‘18년에는 아부다비에도 거점 네트워크를 설치할 계획


 - 자율주행기술 수준도 중요하지만 주행법규, 도로표지판, 지리정보 공유 등 여러 가지 이해관계가 얽혀있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 전폭적 지원과 투자를 단행하는 두바이는 테스트베드로 최적


  ※ 아랍에미리트 부통령 겸 총리는 ‘30년까지 두바이 대중교통의 25%를 운전사가 없는 스마트(자율주행) 차량으로 교체를 선언

      하며 교통 혁신에 앞장(‘16.4.25)


○ (드론 비행택시) 중국의 드론개발 업체 이항(Ehang)이 개발한 유인 드론 ‘이항184’가 이르면 7월 두바이에서 시험 비행에 나설

     계획


 - 세계 최초의 유인자율비행체(Autonomous Manned Flying Vehicle)라고 자부하는 이항184는 사람이 직접 탑승(1인승)하지만

   조종은 하지 않고 자율 운항 시스템을 이용해 목적지까지 비행


 - 차량공유서비스와 유사한 콜택시 방식으로 운영할 계획이며 도시 중심부의 교통 체증을 해소하는 데 중장기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


○ 이 외 차량공유업체 우버도 수직이착륙 기능을 탑재한 플라잉카 상용화 계획을 밝히면서 두바이를 시범서비스 지역으로 선정

    하는 등 다양한 미래교통 테스트베드로 발돋움


  ※ ‘20년 두바이 세계 엑스포에서 우버의 첫 비행 택시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라고 언급


□ 전폭적인 정부 지원과 투자를 기반으로 최첨단 ICT허브로 도약하는 두바이


○ 전통 산유국을 대표하는 아랍에미리트(UAE)의 중심 도시 두바이는 로봇‧무인드론‧자율주행자동차 등 혁신산업으로 눈을

    돌리며 실증테스트의 전진기지로 변화


○ 세계적 ICT 역량을 갖춘 우리나라도 미래지향적 신성장동력과 차세대 기술 실용화를 선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과감한 투자와

    지원을 꾸준히 모색할 필요


 - 4차 산업혁명이 불러올 다양한 혁신 제품·서비스 등의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종합 대책을 지속적으로 검토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