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원자력연구개발기구 시설 중장기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7-07
- 등록일 2017-07-10
- 권호 98
□ 문부과학성은 제2회 원자력과학기술위원회 원자력시설폐기물처리분과에서 일본원자력개발기구(JAEA)* 시설
중장기계획 발표(‘17.6.)
* 원자력 분야 안전 증진, 핵 연료주기 기술 및 방사성 폐기물 관리 기술 연구
○ 일본 원자력연구개발기구는 장기에 걸쳐 일본의 원자력 연구개발을 주도해 왔으나, 원자력 시설이 대부분 노후화됨
- 원자력 시설 89개 중 50% 이상이 40년 이상을 경과
< JAEA 시설 건축 경과 연도 >
○ 원자력 관련 연구개발을 유지·발전 및 노후화 대책 등 안전을 강화하는 한편, 시설 폐기처리를 포함한 재처리 대책이 요구
- 이를 위해 ‘17년부터 ‘18년까지 시설의 집약화·중점화, 안전 확보, 재처리대책을 제시
< 시설 중장기 계획 >
1. 시설의 집약화, 중점화
○ 원자력기구의 원자력 시설 89곳을 지속 이용시설 45개, 폐지시설 44개로 선별
○ 국가가 최소한 유지해야 할 원자력 연구개발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시설은 지속 이용
- 후쿠시마 원전사고 대처, 고속로 연구개발, 핵연료 사이클 관련 재처리, 연료제조 및 폐기물 처리 처분 연구개발시설 등
2. 안전 확보
○ 신규제 및 내진화 기준 대응
- ‘11년 동일본대지진 및 이에 따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계기로 재검토된 원자력시설에 대한 규제기준 및 내진화 관련 기준에
따른 대응 실시
○ 노후화 시설, 설비 및 기기 등 추출
- 원자로시설, 핵연료물질·핵원료물질사용시설, 재처리시설, 가공시설, 폐기물 폐기물 관리시설 및 변전시설 및 전원시설 등
○ 리스크 저감 대책
- 고준위 방사성 폐액을 보유한 도카이 재처리 시설에 필요
3. 재처리 대책
○ 리스크 저감 및 유지관리비를 고려하여 폐기처분 추진
- 폐기시설 44개 중 19개 시설을 3~4기 중장기 목표기간 중 폐기조치 계획
○ 대량으로 발생하는 폐기물 관련 방사성 폐기물 처분 체계적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