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기초연구 전문 프로젝트 13·5 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7-07-07
  • 등록일 2017-07-10
  • 권호 98

중국 과기부, 교육부, 중국과학원,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는 「국가 기초연구 전문프로젝트 13·5계획」발표

   (‘17.6.)


○ 국가자연과학기금, 973계획, 국가중대과학연구계획 등 국가과학기술계획과 지식혁신공정, 985공정, 211공정의 실시를 통해

    중국 내 기초연구비 연평균 증가율은 20% 이상 유지


○ 국제과학기술 논문 수는 다년간 연속 세계 2위이고, ‘15년 중국 국제과학기술논문은 29.68만 편으로,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4년 5.4%에서 ‘15년 16.3%로 증가


 - 2006~2016년 9월 기준, 중국 논문의 피인용 수는 1,489만 개로 세계 4위

 

 - 기초연구 종사 인력(FTE 기준)은 2006년의 13.13만 명에서 2014년의 23.54만 명으로 증가


- 다야완(大亚湾) 중성미자 실험, 지구공간 쌍성(双星) 탐사 등 중국 과학자가 제시한 중대 국제협력프로젝트는 증가추세이며,

  국제과학영향력 제고 추세


○ 중대과학기술프로젝트 실시  

 

 중대과학기술프로젝트

 주요내용

 ⓛ 양자통신 및 양자컴퓨터

 ○ 양자통신 연구
   - 양자암호통신 기술에서 우선 획기적인 성과 창출
   - 원거리 광섬유 양자통신망 구축, 위성-지상 양자통신체계 연구
 ○ 양자컴퓨터 연구
   - 양자시스템, 양자 칩 소재, 구조 및 공법, 양자컴퓨터 전체 구조, 운행과 응용시스템 연구

      개발
 ○ 양자 정밀측정 연구
   - 위성항법, 잠수선의 위치추적, 의학 검출, 중력파 탐측 등의 정확성을 대폭 향상

 ② 뇌 과학 및 뇌 유사 연구

 ○ 뇌 및 인지, 뇌-기계 지능화와 뇌 건강 등 3개 핵심문제를 중심으로
   - 뇌 과학 기초연구, 전환응용 및 관계 산업의 발전을 총괄배정, 관련 핵심기술 플랫폼 구축
 ○ 뇌 인지 원리(뇌 인식)를 중심으로 뇌 기능 신경회로의 구축과 운행 원리 분석
   - 인간 뇌의 거시적 신경망, 모델동물의 중시계 신경망의 구조성과 기능성에 대한 파노라마

     도감


 ○ 목표 유도방향의 기초연구와 변혁성 기술 과학연구 강화

     
 - 현대농업, 건강, 자원·환경과 생태보호, 첨단기술 산업, 에너지절약과 환경보호 및 신에너지, 신형 도시화 등 국가 중대 전략적

    임무에서 기초연구 배치 강화


 - 전략적 프런티어 중대과학문제 연구 강화 

 

 < 전략적 프런티어 중점방향 >

① 양자제어 및 양자정보
② 나노과학기술
③ 단백질 기기 및 바이오 프로세스 컨트롤
④ 지구변화 및 대응
⑤ 줄기세포 및 변환 연구
⑥ 거대과학장치 프런티어 연구
⑦ 합성생물학

⑧ 발육 프로그래밍 및 대사조절
⑨ 미생물체학
⑩ 촉매과학
⑪ 극단 제조의 과학기반과 혁신기술
⑫ 자기밀폐 핵융합에너지 개발
⑬ 우주과학 시리즈 위성계획


○ 국가 과학기술혁신기지와 연구여건 조성 강화

  
 - 국가중점실험실을 강화하고, 에너지, 생명, 지구시스템 및 환경, 재료, 입자물리 및 핵물리, 우주 및 천문, 공학기술 등 7개 과학

   분야 연구 확대


○ 기초연구 인재그룹 구축 강화

  
 - 기초연구 인재 유치와 양성을 강화하며, 국제 영향력 있는 수준 높은 선도자, 청년 인재, 실험기술인재와 우수한 혁신단체를

    집결 및 육성


○ 중대 국제과학기술협력교류 실시 및 강화

    
 - 국제열핵융합실험로(ITER), SKA 구축, 대형강입자충돌기(LHC), 지구관측그룹(GEO), 국제해양공동시추사업(IODP) 등

    국제거대과학 공동연구 적극 참여


 - 기초연구활동의 국제화 촉진, 국제 과학연구 협력교류를 권장하고, 기초연구를 공동 전개하며, 논문을 공동 발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