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글로벌 ICT 기업의 각축장 원문보기 1

  • 국가 인도
  • 생성기관 조선비즈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7-07-07
  • 등록일 2017-07-10
  • 권호 98

□ 인구 13억 명의 인도 시장에서 한·미·중·일의 대표 IT 기업이 치열한 각축전


○ ‘00년대 글로벌 기업의 격전지였던 중국 시장이 고령화와 현지 기업의 급성장으로 차츰 매력이 저하되면서 인도 시장이 글로벌

     ICT 기업의 격전지로 자리매김


 - 저렴한 비용 및 세금, 적극적인 정부정책, 숙련된 노동력의 공급, 주요 산업에서의 ICT기술의 적극적인 도입, 수출 수요의

   급격한 증가, 클라우드 컴퓨팅과 같은 신기술의 활용 등으로 성장


○ (스마트폰) 삼성전자가 1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샤오미·오포·비보 등 중국 브랜드가 점유율을 빠르게 끌어올리고 있으며

     미국 애플도 고가(高價) 제품 위주 전략을 접고 올해부터 시장 공략을 본격화


 - 인도 스마트폰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해 판매량이 ‘19년에는 2억 490만 대로 미국(1억 7,370만 대)을 제치고 세계 2위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SA, 6.14)

 
  ※ 인도 스마트폰 시장은 ‘16년 1억 1,300만 대가 판매된 데 이어 ‘17년 1억 3,000만 대, ‘18년 1억 7,010만 대로 가파른 성장세 예상


  ※ 참고로 ‘16년 스마트폰 판매량 4억 6,750만 대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한 중국은 ‘19년에는 5억 대를 넘기고 ‘22년까지도 단연

      선두를 지킬 전망

< 2017년 1분기 인도 스마트폰 시장 > 

  

  

  (가) 업체별 점유율(%)

 (나) 업체별 출하량(백만 대)


※ 자료 : SA 

 
 - 삼성전자는 ‘17년 1분기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28.6%의 점유율로 1위를 유지(SA)하고 있으나, 최근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의

    점유율이 빠르게 확대되는 양상


 - 중국의 화웨이는 ‘16.10월부터 인도 첸나이 공장에서 자사 제품을 생산 중. ‘17년 말까지 연간 300만 대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관측


 - 오포와 비보도 400억 루피를 투자해 인도 북부에 스마트폰 생산 공장을 만들고 있어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


 - 한편 인도 정부가 공장 확장을 조건으로 현지에서 완성품으로 제조된 아이폰에 들어가는 부품의 수입관세를 면제하기로 하면서

   애플 또한 위탁생산 협력사인 대만 위스트론이 인도에 세운 공장을 통해 보급형 스마트폰인 ‘아이폰SE’ 현지 생산을 시작

 
  ※ 이에 따라 현지에서 판매되는 아이폰SE의 출고가는 기존 3만 9,000루피~2만 루피로 낮게 책정


○ (TV)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양강 체제를 형성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 소니가 10년 만에 현지 TV 생산을 재개한 데 이어 미국

    월풀도 적극적으로 시장 공략


 - 일본의 소니가 ‘15년부터 폭스콘 인도 공장에 현지 생산 라인을 구축하고 삼성전자·LG전자와의 격차를 빠르게 좁혀나가는 상황


 - 파나소닉도 ‘17.4월 방갈루루에 R&D(연구·개발)센터를 세운 데 이어 ‘17.11월엔 하리아나 주에서 연 50만 대 규모 가전 공장

   가동을 시작


 - 삼성전자도 시장 수성을 위해 6.7일 인도 우타르프라데시 주 노이다에서 신공장 착공식을 열었으며 ‘18년 하반기 증설이 완료

   되면 노이다 공장의 연간 휴대폰 생산량은 6,000만 대 규모에서 1억 2,000만 대 수준으로 늘어나며 가전과 TV 생산설비도 대폭

   확충될 것으로 기대


  ※ 삼성전자는 ‘17년 1분기 프리미엄 냉장고 시장에서 점유율 47%를 차지했고, TV 매출 역시 20% 가까이 성장했다고 발표


□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인도 시장, 산업 전반을 고려한 공략 전략 마련 필요


○ 인도는 인구, 스마트폰 보급률, 소득수준, 시장 성숙도 등을 고려하면 성장가능성이 높은 매력적인 ICT 시장으로 평가


○ 국가의 성장과 함께 글로벌 ICT 기업의 진출로 인도 ICT 시장도 다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적인 솔루션을 더 많이,

    다양하게 고민해야 하는 상황


○ 저가 시장이라는 기존 인식만으로는 이제 현지 수요를 모두 포용할 수 없으며 기술 및 솔루션의 질과 가성비를 모두 충족시킬

    방안을 모색


○ 또한 단순 기기뿐 아니라 인프라 장비공급, 통신망 구축, 최적화 서비스 등 지원을 통해 인도 ICT 산업 전반에 대한 영향력 제고

    방안을 고민할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