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카피캣에서 혁신 선도주자로의 변화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7-07-21
  • 등록일 2017-07-24
  • 권호 99

블룸버그 비즈니스 위크는 카피캣의 오명을 벗고 혁신적 사업모델을 구축하는 중국 기업*을 보도(‘17.6.)


  * Who’s the Tech Copycat Now?


○ 중국은 eBay, Google, Apple 등 해외 기업을 단순 모방하던 단계에서 벗어나 슈퍼컴, 첨단 교통기술, 디지털 결제기술, AI 등

    새로운 제품과 사업모델 창출


 - 중국기업 Meitu가 개발한 셀피 사진보정 앱을 모방한 제품이 전 세계 시장에 나오고 있으며 자전거 공유사업 모델 등은 미국

   시장에 도입 중


 - Apple과 Facebook도 자사의 메세징 앱을 중국의 Wechat과 비슷하게 구축 중


 - 미국의 데이팅 앱 Tinder 개발 이전에도 중국은 비슷한 서비스 앱인 Momo가 제공되고 있음


 - 전 세계 드론 시장에서 중국의 SZ DJI의 선도적 기술과 사업모델이 선두


○ 중국은 특히 정보통신기기와 인터넷 기반 서비스 부문에서 유럽, 인도 등 세계 각지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


 - 스웨덴의 에릭슨과 프랑스의 알카텔-루슨트는 자사 스마트폰 제품의 가격을 낮추고 화웨이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식을

   모방하도록 추진


 - 샤오미비보는 인도 시장에서 높은 판매를 올리고 있으며 알리바바도 디지털 결제와 온라인 쇼핑 사업을 빠르게

    확대하는 중 

 


< 세계 10대 기술 기업 가치 >


 

 

○ 중국 기술 기업의 진출과 성공사례가 드물었던 미국 시장에도 최근 변화의 조짐이 나타나고 있음


 - 미국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립싱크 앱 musical.ly는 상해에 본사를 둔 창업기업이 중국 내 대중화된 서비스를 미국시장에

   적용하여 성공한 사례


중국 기술 성장의 원동력은 거대한 시장과 정부의 의지로 평가


○ 중국은 7억 3,000만 명이 넘는 인터넷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어 거대한 내수시장을 확보


 - 시장을 둘러싼 업체 간 치열한 경쟁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사업성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

 


< 최근 10년 간 중국 내 인터넷 사용자 수의 변화 > 

 

 


○ 중국 정부는 내수 기업 지원을 위해 상당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혁신 지원 촉진을 위한 정책에 초점


○ ‘70년대 혼다 등 일본기업이 미국 시장을 뒤흔든 것처럼 향후 중국 기술 제품의 미국 시장 내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을 전망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