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국가혁신지도 2016」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이전및창업
- 원문발표일 2017-07-21
- 등록일 2017-07-24
- 권호 99
□ 중국 과기발전전략연구원(CASTED)는 <국가혁신지도 2016>를 발표(‘17.6.)
※ 중국창신지도 2016(China Innovation Map)은 총 10개 과제로 구분되어 있으며, 그 중 대중창업, 만중혁신에 관한 내용을 정리
※ 그동안 국가 혁신지수 등이 발표되고 있으나, 수치의 객관성 문제가 제기되어, 지도형식을 통해 국가 전체의 현황을 가시화
하고자 함
○ 최근 ‘대중창업 만중혁신’의 열풍으로 국가혁신체계에서 차지하는 각 혁신주체의 역할 및 지위가 크게 변화
○ 기업, 연구기관, 대학 및 과기중개기관은 혁신활동의 주요주체이며, 대부분 중·동부 지역에 집중 분포
- ‘14년 기준 대학 2,529개 중 강소성이 159개로 가장 많으며, 산동, 광동, 허남 등 10개 지역에 주로 집중
- 현급 이상 정부출연연은 3,677개 중 북경 392개, 산동 217개 분포
- 기업 R&D기관은 57,199개로 동부 연안지역에 밀집되어 있으며, 강소성, 저장, 산동, 광동, 안휘성 등으로 전체의 71.4%를 차지
○ 동부지역에 활동하는 기업이 17만 개로, 중·서부 기업을 훨씬 초월
- 북경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기업 R&D 투자 비중이 현저히 높음
< 혁신주체 지역별 분포 > | < 지역별 R&D 투자 분포 > |
|
|
○ 정부출연 연구기관의 R&D 투자 비중은 북경, 상해, 사천, 산서, 강소성으로 전체의 69.4%를 차지
○ 과기 서비스 기관은 각 혁신주체와 시장 간 기술이전을 통해 기술성과 확산 및 기술이전을 가속화
- ‘14년 국가급 과학기술 인큐베이터는 601개, 육성 중인 기업은 52,115개
- 국가급 인큐베이터는 강소, 산동, 절강, 광동, 북경, 천진 등 6개 성·시에 주로 분포
- 플랫폼, 인큐베이팅 기업 수와 규모는 미국을 초월하고 세계 1위를 차지
< 국가급 과기기업 인큐베이터 분포 > | < 창업투자회사 및 대중창업공간 분포 > |
|
|
[2015년 말 기준 통계결과]
•국가에 등록한 대중창업공간 2,331개로, 징진지(북경시/천진시/합비성), 장강삼각주, 주강삼각주 및 산동 등지에 주로 분포,합계는 중국 전체의 50.4%
•과기부 화거센터 창업 지도교수는 2만 965명으로, 중국 전체의 50.6% 차지
- 광둥성의 창업 지도교수는 2,913명으로 1위를 차지
•중국 창업벤처투자기관 수는 1,775개, 그 중 창업벤처투자기업(기금) 1,311개, 창업벤처투자 관리기관 464개, 창업투자기관은북경시와 장강삼각주지역에 집중
- 강소성은 513개로 1위
•중국의 혁신창업 형세는 삼분정립 국면 구현
- 징진지 지역은 북경이 핵심 근거지이며, 동부는 상해, 절강, 강소성이, 남부는 광동이 중심
※ 서남지역은 성도와 중경에 창업이 집중되어 있으나, 대중창업공간, 창업벤처투자기관 및 창업 지도교수 등 관련 인프라가상대적으로 취약한 편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