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BMBF 국제협력을 통한 개방과 교류 성과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7-07-21
- 등록일 2017-07-24
- 권호 99
□ 연방교육연구부(BMBF)는 ‘14~‘16년 교육·과학 연구분야 내 국제협력 사업 성과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간(‘17.6.)
* Strategie der Bundesregierung zur Internationalisierung von Bildung, Wissenschaft und Forschung
○ 독일은 ‘08년 ‘과학 및 연구분야 국제협력 전략’과 ‘14년 ‘국제협력 실행계획’을 바탕으로 ‘17년 교육·과학·연구 분야 국제협력
전략을 수립
- (목표) 국제협력을 통한 우수성 강화, 국제혁신 역량 개발, 직업교육 및 자격 제도 국제화, 개발도상국과의 협력 강화, 글로벌
과제 대응
- (성과) ‘15년 한해 BMBF 지원 학생 수는 3,400명에 이르고, 국제 R&D 협력 연구는 8억 200만 유로(1조원)에 달함
- (국제파트너) 중국, 프랑스, 이스라엘, 러시아, 베트남, 인도, 브라질, 미국, 오스트리아, 인도네시아 순으로 국제협력사업 추진
○ 독일은 EU 중심국가로 유럽 관련 국제협력 프로그램인 유럽연구지역(European Research Area, ERA), Horizon 2020,
Erasmus 성과를 중점 소개
1. 유럽단일연구공간(ERA*: European Research Area)
* ‘09년 유럽 내 연구자 간 단일연구 내 과학적 지식, 기술의 자유로운 이동을 구현하고 기술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행
○ ‘15년 ERA 로드맵 2015~2020에서는 가입국이 6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책적 노력을 추진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음
- 독일의 ‘15년 R&D 투자액은 900억 유로로 유럽 전체의 30%를 차지하였고, 자국의 연구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추진
- 유럽 국가 간 협력을 위한 10개 협력 프로그램 이니셔티브(JPI)를 마련하고, 자유로운 연구 시설 활용에 대한 법적·규제적 장애
해소 추진
- ‘14년 85,000명 이상의 해외 출신 연구자가 독일의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연구를 수행 중이며, 혁신적 박사과정을 마련하기 위한
기반 마련
2. Horizon 2020
○ 독일은 ‘14.1월~‘17.2월까지 총 35억 4,000만 유로(4조 6,000억 원)의 EU예산을 지원받았으며, 제 3자 예산조달로 활용
- ‘17년 2월 Horizon 2020 프로그램에 참여한 독일은 2,011개로 총 3,395개의 연구프로그램을 수행
< EU 28개국 중 Horizon 2020 프로그램 비중 >
회원국 | 참여기관 | 협력연구 | 지원금 |
독일 | 14.0% | 11.8% | 18.0% |
영국 | 14.1% | 12.2% | 16.6% |
프랑스 | 9.8% | 8.4% | 11.0% |
스페인 | 11.3% | 17.4% | 9.5% |
이탈리아 | 10.4% | 12.6% | 8.6% |
3. ERASMUS+ 프로그램*
* ‘14~‘20년 총 148억 유로 예산이 지원되며 교육, 청소년, 스포츠 프로그램으로 EU 28개국과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터키, 마케도니아가 참여
○ 독일 내 4,500여 대학의 38,000명의 대학생이 관련 장학금을 받아 30,500명이 유학을 떠났고, 7,500명이 인턴십에 참여,
직업훈련 관련 18,000명의 훈련생과 4,000명의 견습생이 해외로 출국
4. 비 EU 국가와의 협력
○ (미국) 스마트 시티, 인더스트리 4.0, 전기자동차, 고에너지물리학, 항생물질, 전지 및 나노부문에 대한 독일-미국 간 협력방안
논의
○ (중국) ‘15년 ‘BMBF 중국전략 2015-2020’을 수립하였고, 전기자동차 협력연구, 바이오소재 공동 개발, 청정 수자원 공동
프로젝트와 수자원 처리 공급 개발 프로젝트 등 활발한 협력을 추진 중
○ (아프리카) ‘아프리카 전략 ‘14~‘18’로 미래 협력활동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및 기후변화 및 토지 관리연구센터 현지 설립 및
협력 연구 강화
○ (한국) 보건, 환경, 정보통신, 나노 분야 연구 및 과 탄소강화 플라스틱과 유기전자 분야에서 협력 추진 중